“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주당배당금 4500원·총배당금 8080억원
“안정적 이익 성장 기반 중기 목표 추진”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삼성생명이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배당 규모도 신기록을 썼다. 총배당금 규모만 8000억원을 웃돈다. 지난해 2조원 이상 순익을 올린 삼성생명은 펀더멘털 개선과 이익 성장을 기반으로 중기 주주환원율 50%를 목표로 점진적인 상향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생명은 20일 발표한 2024년 결산 실적을 통해 주당배당금을 450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1년 전인 3700원과 비교해 21.6% 올라선 것은 물론, 역대 최고 수준의 배당이다. 총배당금으로만 8080억원에 달한다. 삼성생명의 주당배당금 규모는 2020년 2500원에서 ▲2021~2022년 3000원 ▲2023년 3700원 등 지속 상승하고 있다.
이완삼 삼성생명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결산 실적 발표 이후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고수익 건강보험의 시장지배력 확대로 수익성이 강화했다”면서 “투자자산 다변화, 인수·합병(M&A) 등 경상이익 성장을 통한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개선됐다. 적정 자본비율을 유지하면서 주주환원율도 안정적으로 우상향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량 성장배당주로 성장 매력 높이고, 투자가치를 인정받는 삼성생명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삼성생명은 별도 기준으로 당기순이익 2조1068억원을 기록해, 전년(1조8953억원)보다 11.2% 늘었다. 이는 배당수익 증가와 금리 하락에 따른 부채 부담이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투자손익이 전년 대비 크게 개선된 결과다. 실제 투자 손익은 2조2720억원을 기록해 1년 전 1조1610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95%나 성장했다.
핵심 수익성 지표인 보험계약마진(CSM)은 누적 12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7000억원 확대됐다. 양호한 신계약 CSM 성과가 CSM 확대를 이끌었다. 신계약 CSM은 금리 하락과 영업 경쟁 심화에도, 전년 대비 신계약 물량 확대와 건강 상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강화 등에 3조2610억원을 확보했다. 특히 신계약 CSM 중 건강상품의 비중은 전년 대비 21%포인트(p) 증가한 58%를 기록했다.
다만 신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은 상당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삼성생명의 킥스 비율은 180%로 예상되는데, 이는 1년 전 219%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39%포인트나 내려서는 것이다. 3분기(194%)와 비교해도 14%포인트 내려선다.
삼성생명은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과 관련해 지배구조나 자본비율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 CFO는 “(자회사 편입해도) 손익이나 자본 비율 등에 변화는 없다”면서 “지분을 추가로 매입할 계획도 현재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생명은 앞서 지난 13일 금융위원회에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을 신청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