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리 물려준다'…지난해 11월 서울아파트 매매 줄고 증여 늘어
대출 규제·세금 부담·금리 인상 영향
강남4구 증여 54% 집중

지난해 말 서울에서 아파트 매매는 줄고, 증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급등한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고지서 발송, 기준금리 인상 등이 겹치면서 매매에 부담을 느낀 다주택자들이 증여로 눈을 돌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4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 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의 아파트 증여는 531건(신고 일자 기준)으로 같은 해 9월(449건)과 10월(503건)보다 많았다. 2개월 연속 증가세다.
반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지난해 11월 2305건에 그쳤다. 같은 해 월간 최소치다. 정부의 초강력 대출 규제에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고지서 발급과 금리 인상까지 겹친 탓에 매수세가 크게 위축됐다.
상당수 다주택자가 내년 3월 대통령 선거를 지켜보겠다며 버티기에 들어간 것도 거래가 급감한 이유다.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은 양도소득세를 비롯한 세금 관련 규제 완화 공약을 잇달아 내놓았다.
다주택자에 대한 주택 최고 양도세율은 지난해 6월부터 기존 65%에서 75%로 높아졌다. 지방세까지 포함하면 세율이 무려 82.5%에 달한다. 종부세도 다주택자에 대한 세율이 2020년 0.6~3.2%에서 작년 1.2~6.0%로 대폭 상승했다.
증여는 초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권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1~11월 서울 전체 증여 건수(1만1838건) 중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54.0%(6391건)를 차지했다.
강남권에서도 아파트 시장을 견인하는 강남구에서 같은 기간 1417건의 증여가 발생해 구별 최다 건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200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같은 기간 강남구 최고 기록이자 종전 연간 최다였던 2020년(2193건) 전체 수치도 이미 넘어선 것이다.
차완용 기자 cha.wanyong@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