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주요 품목, 중국 수입 의존…전경련 "韓·美·日 중 한국이 최대"

2018년 미·중 무역 분쟁 이후 우리나라 중국 의존도↑

 
 
지난해 11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중국 의존도가 높은 희토류 공급망을 점검하기 위해 청주시 흥덕구에 위치한 희토류 생산업체 KSM메탈스를 방문해 사측 관계자의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 일본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對)중국 중간재 수입 의존도가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20년 기준 부품·소재의 대중 수입 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은 29.3%, 일본은 28.9%, 미국은 12.9%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중간재의 경우 2019년 기준으로 한국(27.3%), 일본(19.8%), 미국(8.1%) 순이었다고 전했다.
 
전경련은 한국과 일본, 중국 3개국이 중간재 교역을 매개로 경제 블록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에 중간재 및 부품 소재에 대한 대중 수입 의존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주목할 점은 2018년 미·중 무역 분쟁 발생 이후 우리나라의 중국 의존도가 급격히 늘었다는 점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미·중 무역 분쟁이 심화하기 직전인 2017년과 지난해 1∼8월 전체 품목에 대한 대중 수입의존도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3.8%포인트 상승했지만, 일본은 0.1%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중국 의존도는 4.2%포인트 감소했다.
 
중간재의 중국 수입 의존도(2019년 기준) 역시 우리나라는 2017년에 비해 0.7%포인트 올랐지만, 일본과 미국은 각각 0.2%포인트, 1.9%포인트 내렸다.
 
대용량 배터리, 반도체, 핵심 금속·소재, 의약품·의약원료품의 경우 우리나라가 중국 수입 의존도 1위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 반도체 수입 의존도는 39.5%로 일본과 미국보다 2.2∼6.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의약품·의약원료품(항생 물질)에 대한 한국의 대중 수입 의존도도 52.7%로 미국과 일본에 비해 1.5∼1.7배 높았고, 핵심 금속·소재 수입 의존도는 52.4%로 1.2∼1.3배 높았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올해 미국의 중간선거와 중국의 공산당대회를 앞두고 미·중 갈등이 심화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민관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며 "주요 품목에 대해서는 중국 등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생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yi.byeonghe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실시간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