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라드는 中뷰티 시장…LG생건·아모레·신세계인터 ‘뚝뚝’
K-뷰티 대표 주자들, 중국시장 성장 둔화로 ‘흔들’
면세 매출 감소에 경쟁 심화…4분기 실적 전망 어두워

중국 시장 소비 둔화에…황제주도 추락
화장품 관련주의 잇단 하락은 이들에 대한 실적 부진 전망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주 원인은 중국 내 화장품 시장의 소비 침체다. 중국 럭셔리 시장을 공략 중인 이들 업체들은 화장품 부문 매출에서 중국 의존도가 높다. 대부분 매출이 중국 현지와 면세점에서 나오는 데 전분기 대비 면세 매출 감소가 확대되고 중국 이커머스 경쟁 심화로 소비 시장이 주춤한 상황이 반영됐다.
특히 LG생활건강은 면세점 주요 소비자인 따이공(보따리상)들이 럭셔리 브랜드 ‘후’, ‘숨’, ‘오휘’ 등 주요 화장품에 대해 40% 할인율을 요구했지만 브랜드 가치 훼손을 우려한 LG생활건강이 이를 반려한 것이 면세점 매출 하락으로 이어졌단 분석이다.
박은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의 4분기 매출은 전분기 대비 면세 매출 감소가 확대되면서 화장품 부문의 이익 하향이 불가피하다”면서 “면세 매출 감소는 중국 이커머스 경쟁 심화로 인한 따이공 마진 하락의 결과”라고 해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화장품 부문 매출과 영업이익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서현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비디비치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고 있고 중국 영업 환경 또한 녹록치 않다”면서 “비디비치의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신규 브랜드 성장 속도가 더뎌 과거 2018~2019년 시장 트렌드를 주도하던 화장품 사업 경쟁력을 다시 제고시킬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해 배민라이더 월급 예상치 414만원...전년 대비 11% 올랐다
2원/달러 환율, 1,486원…美 관세 불확실성에 금융위기 수준 근접
3증권업 기업금융 개편안 발표…발행어음·IMA 통해 모험자본 공급 의무화
4NH투자증권, 쿼타랩과 ‘주식 연계 보상’ 솔루션 협력 체결
5 원/달러 환율, 장 초반 1,487.3원까지 급등
63월 취업자 19만 명 증가…청년층 고용은 '일자리 한파'
7아워홈 공장 노동자 결국 사망...구미현 대표 "참담한 심정"
8정수조리기 판매업체 하우스쿡, '美 대리점' 모집 나선다
9트럼프 "맞춤형 거래로 매일 20억달러 수익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