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스피 2620선으로 밀려, 카카오뱅크 5.42%↑ [마감시황]

美 금리 인상 기조에 KB·신한·우리·하나 강세
셀트리온 3형제 동반 하락, 에이치엘비 8% ↑
코스닥 상승률 1위 케어젠, 하락률 1위 ES큐브

 
 
15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4.12포인트(0.91%) 내린 2621.53에 마감했다.[중앙포토]
코스피가 긴축 우려감 등으로 사흘째 하락했다. 15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24.12포인트(0.91%) 내린 2621.53에 장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이 6078억원, 기관이 365억원 사들였다. 반면 외국인은 6773억원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항목은 희비가 엇갈렸다.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삼성바이오로직스(1.50%)를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했다. 반도체 대장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 3.02% 빠졌다. ICT 대장주 네이버는 0.46%, 카카오는 0.48% 소폭 하락했다.  
 
금리 인상 수혜주인 은행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15~16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년여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KB금융은 1.61%, 신한지주는 0.66%, 하나금융지주는 2.26%, 우리금융지주는 1.40% 각각 올랐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카카오뱅크는 5.42% 뛰었다. 카카오페이 역시 1.47% 올랐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엔 ‘KB 인버스 2X 항셍테크 선물 ETN’, ‘삼성 인버스 2X 항셍테크 ETN(H)’였다. 반면 가장 많이 떨어진 종목엔 이아이디(-21.67%)와 KB 레버리지 항셍테크 선물 ETN(H)(-17.76%)가 꼽혔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1.22포인트(0.14%) 내린 871.22에 마감했다. 외국인이 404억원, 기관이 238억원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반면 개인은 홀로 651억원 순매수했다.  
 
시가총액 상위 항목은 혼조세다. 셀트리온 3형제는 동반 하락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2.29%, 셀트리온제약은 2.32%, 코스피 상장사 셀트리온은 0.28% 빠졌다. 2차전지주는 희비가 엇갈렸다. 에코프로비엠이 1.27% 오른 반면 엘앤에프는 1.46% 상승했다.  
 
게임주는 파란불을 켰다. 펄어비스(-3.57%), 카카오게임즈(-0.14%), 위메이드(-3.78%) 각각 내렸다. 반면 2년 만에 불공정 거래 의혹을 벗은 에이치엘비는 8% 급등했다. 에이치엘비는 이날 검찰이 자사의 불공정거래 혐의에 대해 ‘혐의 없음’ 처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주인 알테오젠(5.23%), 에이비엘바이오(2.90%), 레고켐바이오(3.06%), 현대바이오(4.16%) 등이 강세였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케어젠(25%)과 국전약품(23.21%)이었다. 반면 ES큐브(-12.37%)와 이트론(-10.65%)는 가장 많이 떨어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홍다원 기자 hong.dawo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

6관저로 전한길 부른 尹…"우리 국민들 어떡하나"

7트럼프 한마디에...‘불닭’ 삼양식품 주가 날았다

8中, 트럼프 관세폭탄에 긴급 대응…부양책 논의 착수

9현대모비스, 북미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차 기술 공동개발’ 본격화

실시간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