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천하’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60%
아이폰12·13 시리즈 흥행으로 프리미엄 시장 독식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측은 “5G 통신을 지원한 아이폰12와 아이폰13이 판매량을 견인했다”면서 “특히 2020년 말미에 출시된 아이폰12는 2021년 판매량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북미, 남미, 서유럽, 동유럽, 중국, 인도, 동남아, 중앙아프리카 등 전 세계 주요 지역에서 지난해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 대수 1위를 차지했다.
반면 글로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020년 20%에서 2021년 17%로 소폭 하락했다. 삼성전자는 북미, 남미, 서유럽, 동유럽, 동남아, 중앙아프리카 등의 지역에서 판매량 2위를 차지했다. 중국 내 2위는 화웨이가, 인도 내 2위는 원플러스가 각각 차지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 측은 “삼성전자는 갤럭시 S21 시리즈와 갤럭시 Z폴드, Z플립 등으로 호실적을 기록했다”면서도 “다만 갤럭시노트와 팬에디션 시리즈의 부재로 다소 판매량이 떨어졌고, 전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현상도 삼성전자의 물량 공급에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했다.
중국 업체인 오포와 비보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은 1년 만에 각각 갑절로 늘었지만 시장 점유율은 각각 4%, 3%로 적었다.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23%에서 4%포인트 증가해 지난해엔 27%를 기록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측은 “LTE에서 5G 통신으로의 전환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 증가를 이끌고 있다”면서 “5G 스마트폰이 점점 늘어나고 개발도상국에서의 5G 사용이 늘어나면서 LTE 이용은 점점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