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원자재 수급 어쩌나…우크라 사태에 4월 기업경기 전망 부정적

원자재 가격 상승에 제조업 경기 전망 ‘흐림’

 
 
국내 기업들이 4월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들이 4월 경기 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BSI)를 조사한 결과 4월 BSI 전망치가 99.1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3월 전망에선 기준선인 100을 넘어서며 긍정적인 전망을 보였는데, 한 달 만에 다시 기준선 아래로 내려간 것이다. BSI가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 응답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의미한다.
 
전경련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국제 원자재 가격이 폭등했고, 중국 상하이와 선전시 등에 내려진 봉쇄령이 기업 채산성과 수출에 악영향을 끼친 점이 경기 전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부문별 4월 BSI 전망치는 고용(107.5), 투자(103.2), 내수(102.9) 등은 긍정적으로 전망됐으나 채산성(96.8), 수출(97.4), 자금사정(97.4), 재고(100.9·100 이상은 과잉재고)는 부진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채산성의 경우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망이 악화했다.  
 
수출(97.4)도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을 받았다. 전경련은 한국이 러시아의 비(非)우호국 명단에 포함됐는데 우리 기업들이 러시아 수출 대금을 루블화로 지급받을 경우 환차손을 입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1위와 4위 항만을 보유한 중국 상하이와 선전시가 봉쇄되면서 수출길이 막히는 것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도 경기 전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업종별 경기 전망은 채산성과 수출 악화 우려로 제조업(94.8)은 기준선을 밑돌았다. 반면 비제조업은 104.6으로 낙관적인 전망을 보였다. 주요 국가가 러시아산 원자재 수입 금지 제재에 동참하면서 러시아의 생산 비중이 높은 원유와 니켈 가격이 폭등했고, 이로 인해 제조업 가운데 석유화학(75.9)과 자동차·운송장비(81.3) 업종의 경기 전망이 가장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비제조업의 경우 대선 직후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으로 건설(115.4) 산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고 중국이 고강도 방역 정책을 펼치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며 “화학·자동차 업종, 수출 기업 등 대외 리스크 노출이 많은 기업에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린 기자 kim.dar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대법원, 쿠팡 집행정지 인용...“공정위 시정명령 중지”

2음식점에 '최저가 요구'...요기요, 대법서 무죄 선고

3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4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5“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6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7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

8“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9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실시간 뉴스

1대법원, 쿠팡 집행정지 인용...“공정위 시정명령 중지”

2음식점에 '최저가 요구'...요기요, 대법서 무죄 선고

3NHN, ‘다키스트 데이즈’ 글로벌 사전 예약 시작

4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5“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