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칼국수 한 그릇에 8000원”…밀 가격 오르자 치솟는 외식 물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밀 가격 75% ↑
지난달 서울 칼국수 평균 가격 8113원
서울 냉면 가격도 9962원, 1만원 눈앞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의 칼국수 평균 가격은 8113원으로 1년 전보다 8.7% 올랐다. [중앙포토]
 
서울 지역의 칼국수 가격이 처음으로 8000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해상운임 상승 등의 여파로 밀 가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1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해외곡물시장정보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시카고선물거래소의 밀 선물 가격은 t(톤)당 405.55달러로 1년 전(230.75달러)보다 75.8% 올랐다. 지난달 7일에는 475.46달러까지 치솟아 1년 전보다 거의 두 배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밀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이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국제곡물 시장에서 밀 수급에 대한 우려가 커졌고, 주요 곡물 수출국이 수출 제한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량의 약 29%를 차지하고 있다.  
 
무섭게 치솟는 밀 가격에 외식 물가 부담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의 칼국수 평균 가격은 8113원으로 1년 전보다 8.7% 올랐다. 지난 2월에는 7962원으로 8000원에 육박했었는데 8000원을 넘은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서울 명동 ‘명동교자’의 칼국수 가격은 이미 1만원에 판매되고 있다. 명동교자가 지난 2월 3년 만에 주요 메뉴 가격을 1000원씩 인상하면서 한 그릇에 9000원이던 칼국수가 1만원으로 올랐다.    
 
냉면과 자장면 가격도 눈에 띄게 상승했다. 지난달 서울 지역 냉면 가격은 9962원으로 지난해보다 9.7% 올랐고, 자장면은 5846원으로 9.4% 올랐다. 서울 지역의 냉면 가격도 조만간 1만원대로 올라설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같은 기간 삼겹살은 3.5%, 김밥은 5.2%, 삼계탕은 0.3% 각각 올라 밀가루 음식보다는 상승폭이 적었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달 말 발간한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곡물 국제가격 상승으로 국내 가공식품, 배합사료 및 축산물, 외식 물가 상승 압박이 클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대체 원산지 개발과 국내 물가 영향 최소화를 위한 금융 및 세제 지원을 강화해야 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비축 등 국내 공급 기반 확대와 국제곡물 유통 부문 진입을 통한 국제곡물조달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영 기자 kim.chaeyoung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러 “푸틴, 18∼19일 북한 방문”<타스>

2금감원, ‘자산건전성 부실’ 저축은행 경영실태평가 첫 실시

3논란의 ‘덴마크 핵불닭 리콜’…스웨덴 청년 “진짜 이유는 외국인 혐오”

4‘4세대는 괜찮을 줄’…비급여 팽창 여파로 실손 손해율 134% ↑

5금감원,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 ‘부정거래 의혹’ 수사 본격화

6포스코그룹, 아르헨티나·칠레서 해외 리튬사업 강화…이차전지소재 경쟁력↑

7제3금융에도 내쳐진 불법사금융 이용자 최대 9만명 넘었다

8카카오게임즈, ‘아키에이지 워’ 6월 27일 글로벌 출시

9“나 떨고 있니?”…국내 거래소 600개 코인, 상장유지 심사받는다

실시간 뉴스

1 러 “푸틴, 18∼19일 북한 방문”<타스>

2금감원, ‘자산건전성 부실’ 저축은행 경영실태평가 첫 실시

3논란의 ‘덴마크 핵불닭 리콜’…스웨덴 청년 “진짜 이유는 외국인 혐오”

4‘4세대는 괜찮을 줄’…비급여 팽창 여파로 실손 손해율 134% ↑

5금감원,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 ‘부정거래 의혹’ 수사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