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케이뱅크, 새 신용평가 적용하니 대출자 5명 중 1명 신용점수 ↑

신용점수 상승 고객의 비은행권 대출 약 31% 감소
씬파일러 취급액도 특화 CSS 적용 전보다 약 3.5배 ↑

 
 
케이뱅크 CI 사옥. [사진 케이뱅크]
케이뱅크는 최근 도입한 중저신용자(KCB 820점 이하)·씬파일러(금융정보부족고객) 특화 신용평가모형(CSS)이 금융혜택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2월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와 씬파일러 각각의 고객군별 특성을 반영한 특화 CSS를 새로 구축해 적용했다. 새 모형은 가명 처리된 통신·쇼핑 정보를 금융정보와 결합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했다.
 
특화 CSS를 적용한 2월 중순 이후 대출을 실행한 케이뱅크 고객의 3월 말 신용점수를 분석한 결과, 대출을 받은 고객 중 21%가 한 달 반 만에 신용점수가 올랐다. 신용점수(KCB 기준)가 향상된 고객들은 평균 32점이 올랐으며, 가장 많이 오른 고객은 207점이 증가했다.
 
신용점수가 오른 것은 중저신용자·씬파일러 특화 CSS 적용으로 새로 대출을 받게 된 고객이 기존 비은행권(저축은행·캐피탈·카드사 등) 대출을 상환했기 때문이다. 케이뱅크 분석 결과, 특화CSS 적용 후 케이뱅크에서 대출을 실행한 후 신용점수가 오른 고객들은 기존 비은행권 대출금액의 약 31%를 상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특화 CSS 적용 이후 씬파일러에 대한 대출 취급액이 빠르게 늘었다. 특화 CSS 적용 시점인 2월 중순 전후 각각 45일간을 비교한 결과, 씬파일러 대출 취급액은 적용 이전 105억원에서 373억원으로 약 3.5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특화 CSS 적용 이후 중저신용·씬파일러 고객의 대출이 확대되면서 신용점수가 개선되거나 이자 부담을 줄인 고객이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지속적인 CSS 고도화로 중저신용 고객 등 금융소외 계층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hyeongju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

6의협 “정부, 3대 요구안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7 의협 “증원 재논의 없으면 18일 집단 휴진...오늘밤까지 답 달라”

8해킹 당하고 수년간 몰랐다...태그호이어, 韓 고객정보 2900건 유출

9 정부 “진료거부 장기화로 병원 손실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

실시간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