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5월부터 유류세 인하 폭 30% 확대...4대 정유사 “즉각 반영”

휘발유 83원, 경유 58원, LPG 부탄 21원 ↓
주유소 판매가격 인하 때까진 1~2주 소요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L당 2000원을 넘은 3월 16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 가격 표시판. [연합뉴스]
 
유류세 인하 폭이 다음달 1일부터 20%에서 30%로 확대된다. 역대 최대 수준의 인하 폭이다.  
 
지난해 11월 12일부터 시행해온 유류세 20% 인하 정책이 오늘 30일 만료될 예정이었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 유가가 치솟자 7월 31일까지로 3개월 연장하고 인하 폭도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이를 소비자가격에 그대로 반영할 경우 1L당 가격이 휘발유 83원, 경유 58원,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21원씩 내려가는 효과가 기대된다.  
 
기획재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휘발유에 부과하는 유류세(부가가치세 10% 포함)를 1L당 656원→573원으로, 경유 465원→407원으로, LPG 부탄 163원→142원으로 각각 내리기로 29일 밝혔다.  
 
유류세 인하 전엔 유류세(부가가치세 10% 포함)는 1L당 휘발유 820원, 경유 581원, LPG 부탄 203원이었다. 유류세 30% 인하를 적용하면 휘발유 247원, 경유 174원, LPG 부탄 61원씩 세금이 줄어든다.  
 
연비가 1L당 10㎞인 휘발유 차량을 하루 40㎞씩 매일 운행하면 한 달에 약 1만원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기획재정부의 설명이다.  
 
다음달 1일부터 유류세 인하 폭이 확대해도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주유소 판매가격 인하까진 재고 물량 소진 때문에 1∼2주 기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SK에너지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는 손해를 일부 감수하고라도 다음달 1일부터 전국 760여개 직영 주유소에서 유류세 추가 인하분을 즉각 반영하기로 했다.  
 

박정식 기자 park.jeongsik@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

6관저로 전한길 부른 尹…"우리 국민들 어떡하나"

7트럼프 한마디에...‘불닭’ 삼양식품 주가 날았다

8中, 트럼프 관세폭탄에 긴급 대응…부양책 논의 착수

9현대모비스, 북미 스타트업과 손잡고 ‘미래차 기술 공동개발’ 본격화

실시간 뉴스

1올해 1분기 해외건설 수주 82억 달러…'여기'가 최다

2서울 아파트값 10주째 상승…토허제 재지정에 상승폭 축소

3챗GPT 구독료 부담된다면…이 카드 이벤트 주목

4LG전자, 혁신의 흐름 사내 전문가들에게 맡긴다

5尹 탄핵 후 주목 받는 책들...이재명 신간, 베스트셀러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