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Z 전담 조직 신설부터 라방까지…MZ세대 전용 은행앱도 출시
네이버·카카오 등 핀테크와 경쟁…생존에 필수

“MZ 잡아라” 금융권 각양각색 전략 펼쳐
젊은 세대와 소통을 위한 창구로 ‘라이브 방송(라방)’을 꺼내 든 은행도 있다. 하나은행은 한 달에 2번, 정기적으로 하나은행 어플 내에서 금융상품을 소개하는 ‘라방’을 진행한다. 비대면에 익숙한 젊은 세대에게 ‘라방’이 효율적인 영업 창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하나은행은 유튜브 등 다른 플랫폼을 통하지 않고 자체 은행 앱 내에서 라방을 진행해 MZ세대 고객을 앱 내에 머물도록 하는 전략을 펼친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라이브 방송으로 젊은 소비층과 쌍방향 소통해 주요 고객으로 맞이하기 위한 것”이라며 “금융 콘텐트 제공 및 마케팅 전략으로 금융과 재테크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하나은행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고, 익숙함을 느끼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MZ세대 전용 은행 앱 출시 하기도
국민은행 또한 지난해 말 MZ세대 공략을 위한 은행앱 ‘리브넥스트’를 출시하기도 했다. 국민은행은 올해 이 앱에 인공지능(AI) 뱅킹 서비스도 도입해 MZ세대 고객 유인에 나섰다. 올해 상반기 중에는 간편송금·외환 등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젊은 세대를 공략해왔던 기존의 ’리브’ 앱 운영은 종료한다. 국민은행의 앱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리브넥스트를 통해 MZ세대 고객 유인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미래 금융 주역 사전 포섭…핀테크와 경쟁
실제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MZ세대가 생각하는 중요 금융기관 순위에서 1위는 카카오뱅크가 차지했다. 이어 2위는 네이버페이, 3위는 시중은행 순이었다. 이처럼 핀테크 기업은 MZ세대에게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금융서비스 사업자로 안착한 것이다. 이에 전통 은행들의 MZ세대 고객 확보 움직임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권 관계자는 “핀테크가 제공하는 금융서비스에 만족하는 세대가 늘어나면서 전통 은행들의 플랫폼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혁신적인 금융서비스 제공을 통해 MZ세대 고객을 확보하고, 이들 고객이 은행의 우량 고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 은행들은 MZ세대가 주로 사용하는 핵심 기능 위주로 간편화 된 별도 플랫폼 운용 등으로 MZ세대의 수요를 충족하려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윤주 기자 kim.yoonju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장시원PD ‘불꽃야구’ 1화, JTBC 저작권 신고에 삭제..까닭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원빈, 작품 없이 '또' 광고 촬영..누리꾼 반응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선 승리위해"…尹, 당내 압박에 결국 '탈당 선언'(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IET 이어 SK지오센 佛 계열사도…EOD 위기서 기사회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제약, S-PASS 특허 출원 철회...후속 특허 기술도 없을 가능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