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역별 근로자 평균 급여액 상위 2위는 '서울'...1위 지역은? [그래픽뉴스]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 비교
세종이 4520만원으로 가장 높아, 서울은 4380만원
제주는 3270만원으로 14개 시도 중 가장 낮아

 
 
지역에 따라 근로자 평균 총급여액(연간 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뺀 값)이 크게는 1000만원 이상 차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주소지 기준)에 따르면 2020년 서울의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은 4380만원으로 전국 평균(3830만원)보다 550만원 많았다. 이는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전국 중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가 많은 행정 도시 세종(4520만원)이 꼽혔다. 제조업 도시 울산(4340만원)은 세종과 서울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나머지 14개 시도는 모두 1인당 총급여액이 4000만원에 못 미쳤다. 가장 낮은 지역은 제주(3270만원)였고, 전북(3400만원), 인천(3410만원), 강원(3440만원), 대구(3500만원), 부산(3520만원), 경북(3560만원), 경남·충북(각 3580만원), 전남·광주(각 3590만 원), 대전(3710만원), 충남(3730만원), 경기(3890만원) 등이었다.
 
가장 근로소득이 높은 지역 세종과 낮은 지역 제주의 1인당 총급여액 격차는 1250만원에 달했다.
 
2020년 과세 대상 근로소득 746조3168억원 가운데 423조4516억원이 서울·경기·인천에서 발생했다. 근로소득의 수도권 집중도(56.7%)는 전년(56.4%)보다 0.3%포인트(p) 높아졌다.
 
서울 거주자 총급여액(169조5768억원)은 강원(17조8269억원)의 9.5배 수준으로 고연봉 일자리가 서울 등 일부 지역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라예진 기자 rayej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6"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7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8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9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실시간 뉴스

1中서 신종 코로나 또 발견?...관련주는 벌써부터 들썩

2'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3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4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5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