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2조원, 인천공항 면세 잡아라”...빅4 입찰 앞두고 ‘촉각’
인천공항 출국장 면세, 이르면 9~10월 입찰
면세점, 환율 고공행진에 내국인 매출 감소
면세 업계 "임대료 산정방식에 흥행여부 달려"

23일 업계에 따르면 이르면 9~10월에 인천국제공항 출국장 면세점 입찰이 추진된다. 당초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7월에 입찰 공고를 내려고 했으나 관세청과 세부 사항에 대한 합의가 늦어졌다. 양측은 공사가 입찰을 통해 두 곳을 추천하면 관세청과 공사가 5대 5 비율로 점수를 부여해 최종 선정하는 '복수 추천 방식'으로 합의했다.
이번 입찰은 인천국제공항의 총 21개 면세점 사업권 가운데 제1여객터미널(T1) 9개와 제2여객터미널(T2) 6개 등 총 15개 사업권 대상이다. 지난해 계약이 만료된 T1은 현재 공실이 발생한 상황인만큼 더 이상 입찰을 미루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내년 1월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T2는 만료 후에도 6개월 더 연장이 가능하다.
환율 상승분에 내국인 매출 감소....면세업계 시름

현재 면세업계는 코로나19 기점으로 매출이 꺾인데다 고환율 기조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과거처럼 고정임대료 부담을 감당할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 이달 23일 기준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4원 내린 1409.3원에 마감했다.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이틀째 1400원대로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한 것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31일(고가 기준 1422.0원) 이후 13년 6개월여 만이다.
환율이 고공행진으로 치솟자 면세점은 핵심인 가격경쟁력을 잃고 있다. 백화점 등 다른 유통채널보다 가격이 비싼 역전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또 무엇보다 내국인 매출도 주춤하고 있다.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 면세점 매출은 1조2474억원으로 전월 대비 14.6% 감소했다. 외국인 매출은 같은 기간 16.1% 감소했고, 내국인 매출도 0.61%로 증가세가 둔화했다.
보통 전체 면세점 매출에서 내국인 비중은 10% 내외 수준이지만 국내 면세점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보따리상(따이궁)의 급감으로 내국인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입찰 공고가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인천공항 면세점이란 상징성이 있는 만큼 면세업체들에서는 놓치지 말아야 하는 기회인 만큼 적극적으로 입찰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다만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과거처럼 굳이 무리해 면세업체들이 공항면세점에 들어가려 하진 않을 것"이라며 "입찰 공고 내용에 따라 이번 입찰 방향이 판가름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지안 비브이엠티 대표 "화장품은 제가 즐겁게 일하는 원동력"
2‘등골브레이커’된 초등 책가방…가성비 제품 뜬다
3"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4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5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6“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7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8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9“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