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식물부터 폐플라스틱까지…인테리어도 친환경 시대 [미래차 경쟁은 소재 싸움③]
- 탄소배출 최소화 통해 지속가능성 확보
전동화 모델과 시너지…투자 경쟁 치열

현대자동차그룹은 친환경 내장재 활용에 가장 적극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천연 및 재활용 소재를 주력으로 사용하는 현대차의 친환경차 브랜드 아이오닉이 대표적이다. 아이오닉 브랜드의 첫 주자인 아이오닉5는 도어 트림과 도어 스위치, 크래시패드 마감에 유채꽃, 옥수수 등 식물에서 추출한 바이오 오일 성분이 함유된 페인트를 사용했다. 실내 천장 마감재와 시트 커버, 플로어 매트, 플로어 카펫 등은 사탕수수와 옥수수 등에서 추출한 바이오 PET 원사가 포함된 원단으로 제작했다. 특히 업계 최초로 어린이 장난감 또는 음식 용기에 쓰이는 무독성 친환경 플라스틱 ‘페이퍼렛’을 자동차 가니시 소재로 적용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친환경차 명가 현대차그룹, 소재도 남다르네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 역시 전동화 모델을 통해 친환경 소재 적용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GV70 전동화 모델’의 경우 헤드라이닝을 재활용 페트에서 나온 원단으로 마감했고, 헤드레스트 앞면과 시트 사이드 부위에도 울(Wool)이 30% 함유된 천연 원단을 사용했다.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등 독일 브랜드 역시 친환경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벤츠는 최근 공개한 순수 전기차 콘셉트카 ‘비전(Vision) EQXX’의 내장재에 친환경 소재를 적극 사용했다. 도어 손잡이는 생분해가 가능한 바이오스틸 섬유로 제작했고 시트는 버섯과 선인장으로 만든 인조 가죽이 적용됐다.

고급차 브랜드도 예외 없이 동참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GM)도 친환경 소재 개발 및 적용을 위해 자체 측정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단순히 친환경 소재 사용에만 머무르지 않고 이에 맞는 공급망 확립과 체계적인 연구개발을 위해서다. 이미 GM은 산하 브랜드인 GMC를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이미지 확립에 나선 상태다. GMC는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허머 EV에 천연가죽이 아닌 대체 재료를 사용한 바 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업계는 전동화로 대표되는 친환경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며 “친환경 소재의 중요성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가 환경파괴 주범이 아닌 지속가능성의 상징으로 자리 잡는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건엄 기자 Leeku@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셀트리온 ‘짐펜트라’ 장기 투여 시 안전성·유효성 확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일간스포츠
팜이데일리
男아이돌, 커밍아웃 "LGBTQ 일원 자랑스러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혹시나 했는데” 1분기 성적표 ‘충격’…성장엔진도 ‘삐걱’(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사 그라비티, 말레이시아 사업 직접 관리한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아이센스, 글로벌 CGM 3위 자신…삼바·셀트급 연매출 3조원 도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