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쌀, 공급과잉에 최대 25% 폭락”…정부, 45만t 사들인다

농림축산식품부, 쌀 45만t 매입해 시장서 격리
45년만에 최대 폭락한 쌀값 안정화 꾀해
공공비축미 45만t까지 올해 총 90만t 구입

 
 
충남 보령시 주포면 한 논에서 전국농민회총연맹 충남도연맹 관계자들이 정부에 쌀값 폭락 대책을 요구하며 논을 갈아엎고 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가 ‘쌀값 안정화 대책’을 열고, 급락하는 쌀 가격을 조정하기 위해 쌀 45만t(톤)을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지난 2005년 공공비축제 도입 이후 수확기 시장격리 물량으로는 최대 수량이다. 정부 매입은 올해 쌀 수확기인 10~12월에 진행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이번 구매를 결정한 45만t과 별개로 공공비축미 45만t을 구매했기 때문에 정부가 올해산 쌀은 총 90만t에 이른다. 쌀 90만t은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의 23.3%에 달하는 양이다.  
 
정부가 구입한 쌀은 시장과 격리돼 최근 급락한 쌀값 회복을 도울 예정이다.  
 
국민의힘 박정하 수석 대변인은 관련 국회 브리핑에서 "당정은 올해 수확기에 역대 최대 물량인 총 45만t 규모의 쌀 시장격리를 하기로 결정했다"며 "시장격리 대책을 통해 쌀값이 상승했던 2017년보다도 '더 빠르고 더 많은 규모'의 과감한 수확기 대책"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박 대변인은 "올해 초과 생산이 예상되는 25만t에 20만t을 더 추가했으며 2021년산 구곡(舊穀)도 포함했다"며 “구곡 규모는 10만t 미만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최근 쌀값은 지속해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산지 쌀값은 지난 15일 기준 20㎏당 4만725원으로 1년 전보다 24.9% 하락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조사한 1977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
쌀값 폭락은 과잉 공급에 식습관 변화까지 더해지면서 가속화됐다. 실제 쌀은 지난해 풍년을 맞아 전년 대비 10.7% 증가한 388만톤이 생산돼 약 37만톤가량이 과잉 공급됐다.  
 
또 이 같은 과잉 공급으로 쌀 재고는 쌓여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소비가 줄고 끼니마다 쌀밥을 챙겨 먹는 현대인까지면서 감소하면서 쌀 가격이 계속해서 내려간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는 정부가 발표한 쌀값 안정화 대책을 검토하고, 26일 전체 회의 안건으로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올려 추가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라예진 기자 rayejin@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원/달러 환율, 장 초반 1,487.3원까지 급등

23월 취업자 19만 명 증가…청년층 고용은 '일자리 한파'

3아워홈 공장 노동자 결국 사망...구미현 대표 "참담한 심정"

4정수조리기 판매업체 하우스쿡, '美 대리점' 모집 나선다

5트럼프 "맞춤형 거래로 매일 20억달러 수익 내고 있다"

6페르소나AI, 피에스앤마케팅에 AICC 도입, 61.7% 전환성공

7뉴욕증시 '롤러코스터 장세' 끝에 하락…트럼프발 관세 여진 지속

8국제유가, 4년 만에 최저 수준…배럴당 60달러 아래

9 리플 5% 급락, 1.81달러까지 떨어져

실시간 뉴스

1 원/달러 환율, 장 초반 1,487.3원까지 급등

23월 취업자 19만 명 증가…청년층 고용은 '일자리 한파'

3아워홈 공장 노동자 결국 사망...구미현 대표 "참담한 심정"

4정수조리기 판매업체 하우스쿡, '美 대리점' 모집 나선다

5트럼프 "맞춤형 거래로 매일 20억달러 수익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