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치솟는 외식 물가에 ‘집밥’ 찾는다…신선·가공식품 최대 7배↑

"집에서 간단하게 해결한다"...‘알뜰 집밥족’ 증가
1인당 신선식품·가공식품 객단가도 올라

 
 
 
G마켓 신선·가공식품 3분기 판매 [사진 G마켓]
 
연일 치솟는 물가 탓에 엔데믹에도 ‘외식’ 대신 ‘집밥’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주요 식재료 가격 상승으로 밥상 물가 역시 만만치 않다 보니,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을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는 온라인 장보기로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G마켓에 따르면 올해 3분기(7월1일~9월30일) 기준 상품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신선 식재료·가공식품 판매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팬데믹 거리두기로 인해 집밥 수요가 늘었던 점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크다.
 
먼저 주요 신선식품의 판매가 크게 늘었다. 쌀은 지난해보다 22% 더 많이 팔렸으며 포장김치는 21%만큼 판매가 늘었다. 닭고기·계란(68%), 돼지고기(28%), 소고기(23%) 등 육류 판매도 증가했으며 마늘(30%), 양파(29%), 버섯·나물류(24%), 젓갈·액젓류(26%) 등 주요 식재료도 잘 팔렸다. 제철을 맞은 각종 수산물도 꽃게(35%), 새우(16%), 가리비(110%), 전복(30%) 등이 많이 팔렸다.
 
가공식품류도 판매가 증가했다. 식용유(30%), 고추장(15%), 된장(24%), 간장(13%), 조미료·양념(24%)이 고르게 판매가 늘었으며 축산가공식품 판매량은 7배 가까이(580%) 올랐다. 수산가공식품 역시 250% 신장률을 보였다. 과자는 58%, 라면도 10% 더 많이 팔렸다.
 
같은 기간 씀씀이를 엿볼 수 있는 1인당 구매금액인 객단가도 올랐다. 신선식품은 전체적으로 18% 올랐고 가공식품도 객단가가 8% 정도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 동안 G마켓에서 신선식품 장보기에 100만원을 썼다면 올해는 118만원을 소비했다는 의미다.
 
G마켓 관계자는 "물가가 크게 오르다 보니 엔데믹으로 외식을 즐기려는 수요가 주춤하고 다시 집밥을 찾는 추세"라며 "다양한 가격대의 식재료를 편리하게 비교해보고 추가 할인을 받아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다는 점도 온라인몰을 통한 장보기의 장점"이라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실시간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