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추락 계속’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 최대 낙폭
매매·전세 동반 역대 최대 낙폭
‘강남불패’도 흔들 하락폭 커져

금리 인상, 거래 절벽 등의 여파로 아파트 매매·전세값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 이번 주 전국·수도권·지방 아파트 매매·전셋값과 서울 전셋값이 한국부동산원이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사상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27% 떨어졌다. 2012년 6월 11일(-0.36%) 이후 10년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5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로 매물이 늘어난 후 그달 마지막 주부터 21주 연속 하락세다.
심각한 거래 절벽 속에 가격을 크게 낮춘 ‘급급매물’만 팔리면서 낙폭도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거래건수는 이달 19일 기준 555건으로 지난해 9월(2691건)의 약 5분의 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아직 신고일이 이달 말까지 열흘가량 남아 있지만 10월 기준 역대 최저이면서 전월(675건) 거래량보다 적을 가능성이 크다.
서울 자치구별로 노원(-0.41%)과 도봉구(-0.42%)가 0.4% 이상 떨어지며 낙폭이 가장 컸다. 성북(-0.37%)·서대문(-0.31%)·금천구(-0.30%) 등도 낙폭이 커졌다.
부동산 시장의 바로미터인 강남권 아파트도 하락세가 이어졌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의 아파트값이 지난주 -0.31%에서 이번 주 -0.38%로 낙폭이 커졌고, 강남(-0.20%)·서초구(-0.16%)도 지난주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
경기(-0.39%)·인천(-0.41%)의 낙폭도 가파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폭도 지난주 -0.28%에서 이번주 -0.35%로 커졌다. 수도권 아파트값이 0.3%대의 하락률을 보인 것은 한국부동산원이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처음이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값 하락세도 이어졌다. 시흥시 아파트값이 0.61% 하락해 지난주(-0.32%) 대비 2배 수준으로 낙폭이 확대됐고, 광명(-0.54%)과 남양주(-0.50%)·화성시(-0.50%) 등도 하락폭이 0.5% 이상이었다. 지방 아파트값은 급매 위주만 거래되며 지난주(-0.17%)보다 하락폭이 커진 -0.21%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약세로 전국 아파트값은 0.28% 내려 역시 조사 이래 최대 하락했다.
‘깡통전세’ 확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신규 전세수요가 급감하면서 전셋값도 추락하고 있다. 서울(-0.30%)·수도권(-0.41%)·지방(-0.22%)을 비롯해 전국(-0.31%) 모두 한국부동산원 시세 조사 이후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