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노·도·강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0년 만에 최저

동북권 지수 69.8로 통계작성 이래 처음으로 70선 무너져
금리 인상에 이자 부담 늘자 중저가 아파트값 하락 직격탄

 
 
사진은 10일 서울 인왕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와 주택 모습.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이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특히 서울 노원·도봉·강북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약 10년 3개월 만에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6.0으로 지난주(76.9)와 비교하면 0.9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지난 2019년 6월10일 조사(76.0) 이후 약 3년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 5월 첫째 주(91.1) 이후 24주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0~200으로 점수화한 수치다. 기준선인 100보다 아래로 내려갈 수록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서울에서도 노·도·강 지역이 속한 동북권 매매수급지수는 이번주 69.8을 기록하며 201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70선이 무너졌다. 부동산원이 수급지수 조사에 나선 2012년 7월 이후 역대 가장 낮은 것이다.
 
지난주 한국은행의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강북의 중저가 아파트 단지가 타격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은평·서대문·마포구 등이 있는 서북권도 68.7을 기록하며 70선 밑으로 떨어졌다. 2019년 7월 첫째주(63.5) 이후 3년3개월여 만에 최저치다. 용산·종로구 등이 있는 도심권도 70.3으로 70선을 아슬아슬하게 지켰다.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은 지난주 81.5에서 이번주 80.5로, 영등포·양천·강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84.2에서 83.2로 각각 떨어졌다.
 
경기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 81.3에서 이번주 79.9를 기록하며 80 이하로 떨어졌다. 지방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수급지수도 지난주 83.7에서 이번주 82.8로 하락했다. 2019년 9월 셋째주(82.8) 이후 3년1개월 만에 최저다.

박지윤 기자 jypark92@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