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환승연애’ 이어 ‘환승이직’도 대세…직장인 절반 “재직중 이직 당연해”
- 잡코리아, 직장인 1291명 대상으로 이직 트렌드 조사
직장인 51% “‘환승이직’ 당연하고 그럴 수 있다”
“수입이 중단되는 기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직장인 2명 중 1명이 ‘환승 이직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승 이직은 다니던 직장을 퇴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직 활동을 하고 새 직장이 정해지면 바로 이직을 하는 신조어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가 ‘이직 경험과 트렌드’에 대해 직장인 12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4일 밝혔다. 먼저 ‘재직 중 이직 활동을 하고 새 직장이 정해지면 바로 이직을 하는 것(환승 이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51.0%, 2명 중 1명이 ‘당연하다’고 답했다. ‘그럴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도 47.1%로 많았다. ‘바람직하지 않다’고 답한 직장인은 1.9%에 그쳤다.
연령대별로 20대 직장인 중에는 환승 이직이 ‘당연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54.0%로 30대(52.0%)와 40대 이상(48.6%)보다 높았다. 세대별 분석 결과에서도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 응답자 중에는 51.3%가 ‘당연하다’고 답해 그 외 세대 직장인(50.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별로는 IT직, 영업직 직장인 중 환승 이직이 ‘당연하다’고 답한 직장인이 많았다. 조사결과 IT직 직장인 중 ‘당연하다’는 응답자가 61.9% 가장 높았고 영업직(54.0%), 전문직/기타(52.0.%), 사무직(46.4%) 순으로 ‘당연하다’는 답변이 높았다.
실제 직장인들의 이직 경험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유사한 답변이 나타났다. 직장생활을 시작한 이래 1회 이상 이직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90.1%)들에게 이직할 때 주로 언제 퇴사했는지 퇴사 시점을 질문한 결과 ‘재직하면서 이직 활동을 하고 이직할 기업이 정해졌을 때 퇴사했다’는 직장인이 64.8%로 과반수로 많았다. 이러한 답변은 20대부터 40대까지 전 연령대에서 모두 절반 이상의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직장인들은 주로 퇴사 전 이직활동을 하는 이유로는 ‘수입이 중단되는 기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라고 답한 직장인이 46.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언제 이직에 성공할지 모르기 때문에 조바심을 내지 않고 여유롭게 이직활동을 하기 위해’라는 응답자가 36.5%로 뒤를 이었다. 특히 20대 직장인 중에는 ‘조바심을 내지 않고 이직활동을 하기 위해’라는 답변이 43.0%로 가장 높았다.
반면 주로 퇴사 후 이직활동을 하는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재직 중 면접 등 이직활동의 제약이 크기 때문이라 답했다. 조사결과 ‘재직 중에는 이직활동(이력서 수정/면접 등)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라는 직장인이 51.1%로 가장 많았고, 이어 ‘퇴사 후 내가 하고 싶은 일과 진로를 조금 더 고민해보기 위해’라는 응답자도 20.8%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원하는 때 원하는 일을 구할 수 있다는 자신이 있기 때문에’ 주로 퇴사 후 이직활동을 한다는 직장인도 13.4%로 조사됐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김문수, 尹 탈당에…"그 뜻 존중…당 화합·혁신할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원빈, 작품 없이 '또' 광고 촬영..누리꾼 반응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대선 승리위해"…尹, 당내 압박에 결국 '탈당 선언'(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IET 이어 SK지오센 佛 계열사도…EOD 위기서 기사회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제약, S-PASS 특허 출원 철회...후속 특허 기술도 없을 가능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