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춤하는 공매도…“잔고 많은 롯데관광개발·호텔신라 담아라”
11월 거래대금, 10월 고점 대비 반토막
연말 배당 앞두고 숏커버링 발생 가능성
“공매도 비중 높은 종목, 선별 매수 유효”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준 코스피(유가증권시장) 공매도 거래대금은 388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0월 20일 기록한 연중 최대치(7790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공매도 거래대금은 지난달 7일 7232억원, 20일엔 7790억원으로 7000억 원대를 웃돌았으나 이달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증권가에선 연말을 앞두고 공매도 포지션을 청산하는 ‘숏커버’가 발생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공매도 투자자가 빌린 주식을 가진 채로 연말 배당 기산일을 지나게 되면 일정 수수료에 배당금도 지급해야 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배당락일(12월 28일)을 전후해 숏커버로 공매도한 주식을 사들이는 것이다. 김민규 KB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숏커버가 발생하면 해당 종목의 주가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최근 3년간 연말 배당락일로 갈수록 공매도 잔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11월 초부터 배당락까지 코스피 공매도 잔고 금액은 2018년 6230억원 감소했고 2019년엔 1조2030억원, 2020년엔 1조3290억원 급감했다. 같은 기간 공매도 잔고 주식 수도 2018년 2907만7000주, 2019년 963만7000주, 2020년 5783만4000주씩 감소했다.
코스닥선 엘앤에프·HLB·셀리버리 주목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코스피 공매도 잔액 비율(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액)이 가장 높은 종목은 롯데관광개발이다. 롯데관광개발의 공매도 잔액 비중은 9.64%에 달했다. 호텔신라(7.78%), OCI(5.41%), 두산퓨얼셀(5.37%), HMM(5.15%) 등도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코스닥 종목 중에선 엘앤에프(5.96%), HLB(5.14%), 셀리버리(5.11%), 서진시스템(4.92%), 씨아이에스(4.85%) 등의 공매도 잔액 비중이 높았다.
김종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배당 시즌이 도래하면서 공매도 잔고가 높은 종목을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본다. 공매도 비율이 높은 종목을 선별할 필요가 있다”며 “11월 증시안정기금(증안펀드) 자금이 집행된다면 공매도 숏커버링 전략은 더욱 유효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허지은 기자 hurji@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6개월간 휴일 'NO' 편의점 점장, 끝내…본사 답변은
2트럼프,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대미 통상전략 촉구해야”
3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광고 모델로 가수 비비 발탁
4"사기 혐의로 처벌해달라"...최형록 발란 대표 '출국금지' 됐다
5"꽃받침 턱받이 아시나요?"...아기 용품으로 매출 500억 기록한 K-기업 나왔다
6사망‧실종자 휴대전화 비밀번호 해제 가능해질까
7서머스 전 美재무장관 섬뜩한 경고 “상호 관세는 역사상 가장 큰 자해”
8강풍·비 소식에…‘벚꽃엔딩’ 빨라질까
9정인교 통상본부장 8∼9일 미국 방문…USTR 대표와 상호관세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