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내년 말 가계·기업대출 이자부담액 총 ‘107조’
내년 가계대출 이자부담액 64.9조원, 기업은 42.3조원
가구당 연간 이자부담액, 올해보다 132만원 증가
취약차주·한계기업 등 이자부담 급증에 부실위험 상승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금리인상에 따른 민간부채 상환부담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기업대출에 대한 연간 이자부담액은 내년에 총 42조3000억원으로 예상됐다. 2023년엔 49조9000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올해 9월까지 기업대출 이자부담액은 33조7000억원이다.
자영업자 대출 이자부담액은 내년 17조4000억원, 2023년 19조10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올해 9월까지는 13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경기둔화, 원자재가격 급등, 환율상승 등으로 기업 경영환경이 악화된 상황에서 금리 인상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까지 커졌다”며 “한계기업과 자영업자들이 코로나19 타격에 이어 이자 폭탄까지 맞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경연은 개별 가구 단위로 환산 시, 연간 이자부담액은 올해보다 내년에 약 132만원 증가하고. 다중채무자이며 저소득상태, 저신용자 등 취약차주의 경우엔 같은 기간 가구당 약 330만원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경연은 가계대출 금리 상승으로 가계대출 연체율이 현재 0.56%에서 1.02%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부연구위원은 “금리인상으로 인한 잠재 리스크의 현실화를 막기 위해서는 재무건전성과 부실위험지표의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계기업과 취약차주의 부실화에 따른 위험이 시스템 리스크로 파급되는 악순환 방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