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美 테네시주에 양극재 공장 짓는다…4조원 투자
미국 최대 규모…연간 12만t 규모 생산능력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120만대 생산 분량

LG화학은 2027년까지 30억(약 4조1000억) 달러를 투자해 연산 12만t 규모의 배터리 양극재 공장을 짓기로 미국 테네시주 정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빌 리 테네시 주지사, 스튜어트 맥홀터 테네시주 경제개발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회사 측은 양극재를 포함한 전지 재료 사업 매출을 2022년 기준 약 5조원에서 2027년에는 약 20조원으로 4배 이상 증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테네시주에 들어설 양극재 공장 부지는 170만여㎡에 달한다. 여기서 생산하는 양극재는 연간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120만대분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다. 미국 내 최대 규모 수준으로 알려졌다. 내년 1분기에 착공해 2025년 말부터 양산에 들어간 뒤 생산라인을 늘려 2027년까지 연산 12만t 규모로 생산량을 확대할 예정이다.
테네시 공장에서는 LG화학이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용 하이니켈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를 생산할 예정이다. NCMA 양극재는 LG화학의 소재 기술력이 집약된 제품이다. 에너지 밀도를 결정하는 니켈 함량을 높이면서 안정성이 높은 알루미늄을 적용해 출력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LG화학은 테네시 공장에 스마트팩토리 기술을 활용해 모든 생산공정의 자동화와 품질 분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장 운영을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전했다. 또 배터리‧전기차 제조사 등 고객사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에도 대응하기 위해 부지 인근 테네시 전력 공급 업체와 협력하고 태양광과 수력 등 100% 재생에너지로 가동할 계획이다.
신학철 부회장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은 LG화학 미래 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차세대 전지 소재 사업의 핵심 기지가 될 것"이라며 “빠르게 변화하는 전지 소재 시장과 글로벌 고객사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세계 최고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