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뉴욕증시, 혼조 마감…국제유가, 나흘간 7% 가까이 올라

11월 고용보고서 발표 앞둬…국내 증시 외국인 수급 부담 우려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게티이미지뱅크]
뉴욕증시가 12월 첫 거래일 혼조 마감했다. 전날 증시가 급등했고, 11월 고용보고서 발표를 앞둔 영향이다. 국제유가는 또 상승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56% 하락한 3만4395.0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09% 내린 4076.57에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0.13% 오른 1만1482.45를 기록했다.
 
뉴욕증시는 전날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쉬어가는 모습이다. 전날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것임을 시사했다. 연준은 12월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폭을 0.50%포인트(빅스텝)로 낮출 가능성이 크다.
 
개별 종목으로 보면 넷플릭스가 전날 9% 폭등한 데 이어 이날도 3.74% 상승 마감했다. 전기차주는 테슬라를 제외하고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는 가격 변화 없이 194.70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루시드는 3.06% 하락한 9.83달러, 니콜라는 0.76% 하락한 2.60달러, 리비안은 1.75% 하락한 31.48달러로 각각 장을 마쳤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증시가 경기 둔화 및 전날 급등에 따른 매물 소화를 진행한 점은 국내 증시에 외국인 수급 부담을 줄 수 있어 부정적”이라면서도 “중국 코로나 제로 정책 완화 기대 등으로 국내 증시는 0.3%내외 하락 출발 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국제유가는 중국 일부 도시에서 코로나19 관련 방역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는 소식에 힘입어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67센트(0.83%) 상승한 배럴당 81.22달러로 마감했다. WTI 상승률은 나흘 간 6.48%에 달한다.

홍다원 기자 daon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법인, 현지 최초 지속가능 연계 채권 발행

2AI 탑재한 삼성 올레드 TV, 세계 1위 LG 올레드 TV 자리 넘을까

3수십억 아파트도 중고거래...정부, 집주인 실명인증 권고

4KT, 상장 이후 연간 최대 매출 기록...매출 26조원

5‘준공 후 미분양’ 2만 가구 돌파... “수도권 중심 해결책 필요”

6전자담배·보조배터리, ‘기내 선반’아닌 ‘비닐봉지’에 넣어 소지해야

7 삼양식품, 中 라면시장 본격 공략...전략 TFT 신설

8“스스로 생각하고 문제 푼다”...GPT-5 출시 앞둬

9러닝 크루 모여라…메르세데스-벤츠 부산 광안대교 달리기 행사 연다

실시간 뉴스

1한국투자증권 인도네시아법인, 현지 최초 지속가능 연계 채권 발행

2AI 탑재한 삼성 올레드 TV, 세계 1위 LG 올레드 TV 자리 넘을까

3수십억 아파트도 중고거래...정부, 집주인 실명인증 권고

4KT, 상장 이후 연간 최대 매출 기록...매출 26조원

5‘준공 후 미분양’ 2만 가구 돌파... “수도권 중심 해결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