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빗 리서치센터 “내년 코인 시총 반등할 것…신뢰 회복 전제돼야”
코빗 리서치센터 출범 1년 기념 연구원 4인 2023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
![](/data/ecn/image/2022/12/05/ecn726e3dd3-4112-4f08-9e95-191b6ffa0448.jpg)
이번 리포트는 코빗 리서치센터 출범 1년을 맞아 정석문 리서치센터장과 세 명의 연구원이 각자 내년 가상자산 시장 전망을 담았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내년도 가상자산 시장 트렌드를 ▶가상자산 시가총액 반등(정석문 센터장) ▶가상자산 제도권 편입 확대(최윤영 연구원) ▶신뢰도 제고 및 가치 창출(정준영 연구원)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 발휘(김민승 연구원)의 4가지 측면으로 예상했다.
우선 정석문 리서치센터장은 내년도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반등할 것으로 기대했다.
올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통화 긴축 정책에 따른 위험자산 회피 현상에 테라-루나 사태를 비롯해 셀시우스, 3AC(쓰리애로우캐피털), FTX와 같은 시파이(CeFi, 중앙화 금융) 기업들이 몰락해 한때 3조 달러에 육박하던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현재 8000억 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그러나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업계의 투자, 연구 개발, 채용 등은 꾸준히 늘고 있다”며 “이는 2021년 강세장에서 가상자산의 가치를 이해한 계층이 늘어나면서 업계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개선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간 지속됐던 미 연준의 긴축 정책으로 인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인플레이션 수치가 안정을 찾음으로써 위험자산 전반에 대한 수요 회복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런 시나리오라면 2023년은 2019년과 유사한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도 덧붙였다.
![](/data/ecn/image/2022/12/05/ecn1e42d535-4843-4ea1-a095-387db09e15a3.jpg)
이런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정 센터장은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현재 8000억 달러에서 내년도 1조~1조5000억 달러까지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최윤영 연구원은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확대에 주목했다. 특히 기관들이 비트코인뿐 아니라 이더리움에도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봤다.
실제 올해 하반기 피델리티는 이더리움 인덱스 펀드를 출시했고 JP모건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활용한 첫 디파이(DeFi, 탈중앙화 금융) 거래에 성공했다. 특히 JP모건의 디파이 거래 성공은 그간 가스비 문제로 시장에 진입하지 못했던 기관들의 우려를 해소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data/ecn/image/2022/12/05/ecn29bdf451-3214-4df2-a991-fdbcbf5a532a.jpg)
정준영 연구원은 올해 가상자산 관련 기업들의 각종 내부 통제 실패 이슈가 이어졌는데, 내년에는 가상자산 관련 규제들이 구체화하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우선 증권성 판단 여부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Ripple) 간의 소송 결과와 함께 지난 6월 루미스와 질리브랜드 상원의원이 발의한 책임 있는 금융혁신 법안(RFIA: Responsible Financial Innovation Act)의 통과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증권법 적용 여부와는 별개로 각종 법안에서 투자자 보호 측면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내다봤다.
![](/data/ecn/image/2022/12/05/ecn6503f978-ec76-4c21-bbca-1a5e1f219994.jpg)
다만 정 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 상황이 개선되려면 기대감에 따른 상승보다는 신뢰 회복과 실질적인 가치 창출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년에 발전이 기대되는 섹터로 레이어2, 대체불가능토큰(NFT), 웹3 아이덴티티와 인프라 부문을 선정했다.
김민승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디파이·전통 금융기관의 시너지가 발휘될 가능성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우선 법정화폐 대비 가격 등락이 심한 가상자산은 일반 상거래나 소액 결제용으로 쓰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블록체인과 가상자산은 국가나 대형 기관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형태로 대중 속으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넥스트 달러로서 스테이블코인의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USDT 발행사 테더(Tether), USDC 발행사 서클(Circle), BUSD 발행사 바이낸스(Binance)까지 3개사가 치열하게 경쟁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용처가 늘 것으로 전망했다.
![](/data/ecn/image/2022/12/05/ecn8b0c824b-02fa-4eca-8322-135be360e593.jpg)
아울러 김 연구원은 “피델리티가 개인 고객을 위한 가상자산 투자상품인 ‘피델리티 크립토’ 모집을 FTX 사태 발생 이후인 지난 11월 말부터 시작한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가상자산 규제 도입 확대 등으로 리스크가 해소된다면 전통 금융기관들이 각자의 기존 서비스에 가상자산을 융합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정석문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코빗 리서치센터는 앞으로도 가상자산 관련 양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정보 비대칭성 해소하겠다”며 “건전한 가상자산 투자 문화 조성을 통해 거래소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2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3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4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5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6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7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8“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9"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