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굳건한 美 경제에 금리 인상 공포 확산…5일 뉴욕증시 하락세

11월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도
10월 공장재 수주도 전망치 상회

 
 
5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NYSE)의 한 트레이더. [로이터=연합뉴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더 올릴 것이라는 공포가 확산하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82.78포인트(1.40%) 떨어진 3만3947.1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72.86포인트(1.79%) 하락한 3998.84로 다시 4000선을 내줬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1.56포인트(1.93%) 하락한 1만1239.94에 장을 마감했다.
 
뉴욕증시는 지난주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공식화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에 힘입어 상승 랠리를 펼쳤다. 하지만 생각보다 강한 미국의 경제 상태가 연준의 통화긴축 지속 가능성을 높여 다시 증시를 위축시켰다.
 
지난 2일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한 11월 고용 지표에 이어 오전 발표된 2개의 다른 지표가 큰 영향을 미쳤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11월 비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6.5로 시장 전망치(53.7)는 물론 10월 54.4를 상당폭 웃돌았다. 이어 상무부가 발표한 10월 공장재 수주도 전월보다 1% 증가해 월가 전망치(0.7%)를 넘어섰다.
 
이런 지표에 연준이 투자자들의 기대와 다르게 더욱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관측을 높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최종 금리 수준을 5% 이상으로 높이고, 내년 2월에도 2연속 ‘빅 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기준금리에 민감한 2년물 미 국채 금리는 11bp(1bp=0.01%포인트) 이상 치솟아 지난달 3일 이후 하루 최대폭 상승했고,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도 10bp 가까이 급등했다.
 
금리 영향을 많이 받는 빅테크들의 주가가 일제히 하강곡선을 그렸다. 특히 테슬라는 12월 상하이 공장 생산 축소 보도의 여파까지 겹쳐 6.4% 떨어졌다.
 
노스페이스와 밴스의 모회사 VF는 매출·이익 전망 하향조정으로 11.2%, 자회사 슬랙의 최고경영자(CEO) 사임 소식이 나온 세일즈포스는 7.4% 각각 급락했다.

윤형준 기자 yoonbr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실시간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