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도 부동산 시장 침체 속도 가파르네

고금리 부담에 매수 심리 급랭
부동산 시장 한파 이어질 전망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미국이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왔지만 고금리 부담에 부동산 침체 분위기는 쉽사리 나아지지 않을 전망이다. 매수심리는 꽁꽁 얼어붙었고, 전국 주택가격 하락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보다 커지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빅스텝을 단행했다. 앞서 4차례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았던 만큼 인상폭을 좁혀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왔다.  
 
연준은 이날 올해 마지막으로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4.25∼4.50%로 올린다고 밝혔다. 현재 금리인 3.75∼4.00%보다 0.50%포인트 인상했다.
 
속도를 늦추긴 했지만, 연준은 내년에도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FOMC 위원 19명이 각자 생각하는 적절한 금리 수준을 취합한 지표인 점도표(dot plot)는 내년 말에는 금리가 5.00~5.25%(중간값 5.1%)로 나타냈다. 이 전망대로라면 내년에도 0.75%포인트를 인상해야 하는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내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현재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점차 우리 목표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충분히 긴축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데 집중하고 있지 금리 인하가 아니다”라며 “당분간 긴축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인플레이션 압력이 정점을 지났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내년 1월 13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한국은행(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만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한은이 앞서 제시한 최종금리(3.5%)를 유지할 경우 양국의 금리역전 폭이 22년 만에 최대로 벌어질 수 있어 추가 인상폭을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의 현재 기준금리는 3.25%로 미국보다 0.50∼0.75%포인트 낮았지만, 연준의 이번 인상으로 금리차가 최대 1.25%포인트로 커졌다.
 

부동산 시장, 최종 기준금리 언제·어느 정도까지 올라갈지 ‘관건’

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주택 매수심리 회복이 쉽지 않아 보인다. 고금리 이자 부담에 부동산 시장 침체 우려가 커지며 올해 부동산 시장에서는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올해 6월 100.2에서 7월 93.6으로 떨어진 이후 11월 79.5까지 내려앉으며 하강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주택시장(매매·전세) 소비심리지수는 같은 기간 100.6, 93.6에 이어 78.8로 떨어졌다. 소비심리지수가 100 아래로 떨어지면 가격 하락이나 거래 감소 응답이 많다는 뜻이다.  
 
아파트 거래에서도 기존 시세보다 수억원을 낮춘 '급급매' 매물 위주로만 거래되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총 559건으로 올해 6월(1068건)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에 그쳤다. 11월 거래량도 648건에 불과해 1000건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집값 하락폭이 커지며 금융위기 수준을 넘어서는 분위기다. 한국부동산원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연립·단독주택 등) 가격은 전월 대비 1.37% 하락했다. 0.77% 내린 10월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고,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0.78%)을 뛰어넘은 수치다. 부동산원이 2003년 12월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최대 낙폭이기도 하다. 서울(-0.81%→-1.34%), 수도권(-1.02%→-1.77%)과 지방(-0.55%→-1.01%), 5대 광역시(-0.88%→-1.53%) 모두 낙폭이 1%대로 확대됐다.
 
고금리 부담과 집값 하락 우려 등의 여파로 미분양 주택도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4만721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4만1604가구) 대비 13.5%(5613가구) 증가한 수치로, 2019년 12월(4만7797가구) 이후 최대치다.  
 
전문가들은 고금리 추세가 길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들이닥친 한파가 건설업계까지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미분양 사태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색으로 건설업계의 자금난이 확대되고 있다.  
 
임병철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한은과 미 연준이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서고 있지만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은 여전한 상황이다”며 “금리 인상 기조가 내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주택 매수심리 회복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한은이 속도 조절에 나서더라도 최종 기준 금리가 어느 정도 수준까지 오를지, 또 고금리 기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가 중요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휠라홀딩스, 주주환원에 ‘진심’...자사주 추가 취득·3년 연속 특별배당

2삼성전자 노사 10개월 만에 잠정합의안 도출...임금 5.1% 인상 안

3트럼프, 보훈장관에 '콜린스' 내정…첫 탄핵 변호한 '충성파'

4'디타워 돈의문' 9000억원에 팔렸다

5민주당 ‘상법 개정’ 움직임…재계 “기업 성장 의지 꺾는 정책”

6파월 발언에 '비트코인' 상승세 멈췄다

7금성백조, ‘화성 비봉 금성백조 예미지 2차’ 모델하우스 15일 오픈

8탈 서울 기업들 몰리는 청라 국제도시…新랜드마크 ‘청라파이낸스센터’ 주목

9 코스피 2400선 내줘…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

실시간 뉴스

1휠라홀딩스, 주주환원에 ‘진심’...자사주 추가 취득·3년 연속 특별배당

2삼성전자 노사 10개월 만에 잠정합의안 도출...임금 5.1% 인상 안

3트럼프, 보훈장관에 '콜린스' 내정…첫 탄핵 변호한 '충성파'

4'디타워 돈의문' 9000억원에 팔렸다

5민주당 ‘상법 개정’ 움직임…재계 “기업 성장 의지 꺾는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