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수출 호황 끝날까…전경련 “내년 수출 ‘0%대’ 성장 그칠 것”

전기전자, 석유화학‧석유제품 타격 전망

 
 
 
부산항 감만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연합뉴스]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수출이 내년에는 0%대 성장률에 머무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 ‘2023년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에 응한 150개 기업은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칠 것(평균 기준)으로 예상했다.  
 
12대 수출 주력업종은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선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컴퓨터, 이동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이들 업종의 내년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보면 전기·전자(-1.9%), 석유화학‧석유제품(-0.5%), 철강(0.2%), 자동차‧자동차부품(0.9%), 일반기계‧선박(1.7%), 바이오헬스(3.5%)로 나타났다.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높은 수준의 원자재 가격이 이어지며 수출경쟁력이 약화하고(45.7%),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33.9%), 해상, 항공 물류비 상승 등 물류 애로(10.2%)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내년 수출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교역여건 개선(46.1%),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출단가 상승(19.8%), 생산 및 물류 차질 해소(17.6%)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수출 채산성에 대해선 응답 기업의 28%가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개선될 것으로 본다고 응답한 기업(18.7%) 보다 많았다. 53.3%는 내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산성 악화 전망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40.7%), 철강(31.3%), 석유화학·석유제품(28.6%), 자동차·부품(26.5%)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 채산성 악화의 요인 역시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54.7%),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14.3%),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비용 상승(11.9%) 등이 꼽혔다.  
 
기업들은 수출 부진 대응 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절감(35.6%), 채용 축소 등 고용조정(20.3%), 투자 연기 및 축소(15.3%) 등을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를 지원(38.0%)하고 수출 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24.7%),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1.3%)를 해야 한다고 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코로나19 위기 이후 한국경제 성장을 주도해온 수출 증가세가 정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 지원 확대 등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한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2“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3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4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5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

6“초저가 온라인 쇼핑 관리 태만”…中 정부에 쓴소리 뱉은 생수업체 회장

7美공화당 첫 성소수자 장관 탄생?…트럼프 2기 재무 베센트는 누구

8자본시장연구원 신임 원장에 김세완 이화여대 교수 내정

9“‘元’ 하나 잘못 보고”…中 여성, ‘1박 5만원’ 제주도 숙소에 1100만원 냈다

실시간 뉴스

1러 루블, 달러 대비 가치 2년여 만에 최저…은행 제재 여파

2“또 올랐다고?”…주유소 기름값 6주 연속 상승

3 정부,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키로…日대표 야스쿠니 참배이력 문제

4알렉스 웡 美안보부좌관 지명자, 알고 보니 ‘쿠팡 임원’이었다

51조4000억원짜리 에메랄드, ‘저주받은’ 꼬리표 떼고 23년 만에 고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