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삼성전자, 성균관대와 ‘AI 계약학과’ 협약…신성장 IT 인재 육성

학·석사 5년 통합 과정, 2024년부터 매년 50명 AI 인재 맞춤 교육

 
 
 
삼성전자와 성균관대학교가 인공지능(AI) 특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채용연계형 계약학과인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를 신설한다. 사진은 지난 22일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열린 협약식 모습. [사진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성균관대학교와 인공지능(AI) 특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채용연계형 계약학과인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를 신설한다고 25일 밝혔다.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는 성균관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에서 학·석사 5년제 통합 과정으로 운영하는 학과를 말한다. 성균관대는 2024년부터 매년 5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성균관대 지난 22일 경기도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 설치 협약식을 가졌다고 같은 날 전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 등이 참석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지능형 소프트웨어학과에 입학하는 학생은 AI·소프트웨어 분야에 3년 6개월(7학기)간 학부 수준의 이론과 실습 교육, 1년 6개월(3학기)간 석사 수준의 심화 교육을 받게 된다.  
 
입학한 학생들은 졸업 후 삼성전자에 입사한다. 재학 기간 등록금 전액을 산학장학금으로 받을 수 있다. 또 삼성전자 인턴십 프로그램 참가, 삼성전자 해외 연구소 견학, 해외 저명 학회 참관 등 다양한 체험 기회도 얻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번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 신설에 대해 AI 분야를 선도할 전문 인력을 선제적으로 육성하고, 국가 차원의 인재 양성에도 동참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은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갈 AI 인재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성균관대와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를 설립하기로 했다”며 “AI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학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은 “이번 협약으로 소프트웨어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지속적 협력의 교두보를 놓게 됐다”며 “전 세계를 선도할 소프트웨어 인재 배출과 계약학과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병희 기자 leoybh@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2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3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4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5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6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7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8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9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실시간 뉴스

1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2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3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4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5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