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빗장’ 풀린 해외여행에도…면세점 ‘화려한 부활’ 힘든 까닭

해외여행 빗장 풀리자...면세 매출액 증가세
면세업계 "아직 완연한 회복 단계는 아냐"
따이공 발길이 '관건'…임대료 부담까지 가중

 
 
 
지난 9월 국내 면세점 매출이 올해들어 월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각국의 코로나 봉쇄 조치 완화와 관광 재개에도 면세점들이 좀처럼 웃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일본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여행 수요가 살아나고 있지만 중국의 해외여행이 재개되지 않고 있어 본격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면세 외국인 매출액 6% 증가…“완연한 회복세는 아냐”

 
27일 한국면세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외국인 면세점 이용객은 22만1678명으로 전달(16만4700명) 보다 5만6978명 늘었다. 내국인 이용객은 86만8400명으로 전달(73만3110명) 대비 13만5290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면세점 매출은 1조8856억원으로 전달(1조7682억원) 대비 6.6% 늘었다. 이용객별 매출을 살펴보면 외국인 매출액은 1조7534억원으로 전달(1조6527억원) 대비 6% 늘었고 내국인 매출액은 1322억원으로 전달(1155억원) 대비 14.4% 성장했다.
 
실제 국내 주요 면세점들이 매출이 회복 추세에 접어들었어도 코로나19 이전 매출까지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았다. 당초 정부와 인천공항공사는 올해 말 국제선 출국 기준 여객이 코로나19 전 대비 80%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지난달 국제선 출국 기준 여객은 코로나19 전 대비 48% 수준에 불과했다.  
 
국토교통부(국토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는 공항시설 사용료 및 상업·업무시설의 임대료 감면 기간을 12월 말까지 추가로 6개월 연장하겠다고 지난 15일 발표했다. (자료: 연합뉴스)
 
한·일 양국의 무비자 입국이 다시 허용되면서 관광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 매출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거란 우려도 나온다. 환율 영향으로 국내 면세점 가격이 일본보다 비싸지는 ‘가격 역전’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국내를 찾는 일본 관광객은 이전보다 비싸진 비용에 면세 쇼핑을 이용할 이유가 없어져서다.
 

따이공 발길이 ‘관건’…엔저 현상에 임대료 부담까지  

 
무엇보다 코로나19 이전 수준까지 회복되려면 국내 면세점 ‘큰 손’으로 불리는 중국 보따리상(따이궁) 돌아오는 것이 관건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 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봉쇄령이 내려지면서 보따리상의 입국은 어려워진 상태다. 따이공이 현재 공항을 포함한 면세점 전체 매출을 차지하는 비중은 80% 이상이다. 즉 여행객수 회복이 곧 면세업계 회복은 아니란 얘기다.  
 
당초 해외 여행 재개 시 면세점들의 매출 및 이익 규모가 큰 폭 증가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하회한 모습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인천공항 등 면세점 임대료 지원정책 만료로 임대료 비용 부담이 늘었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달 30일 면세업계에 임대료 특별감면제도를 제안했다. 
 
이달 말로 기존 임대료 감면 혜택을 종료하고 내년부터는 고정임대료 방식을 적용하되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여객 감소율의 50%만큼을 감면하겠다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내년 1월 여객수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월과 비교해 60% 줄었다고 가정하면 여객 감소율의 절반인 30%의 임대료를 감면해주는 방식이다. 다만 여객 수요가 60% 이상으로 회복하면 특별감면은 종료된다.
 
22일 오후 인천공항 1터미널 내 출국장의 면세점 [사진 연합뉴스]
업계에선 새 임대료 정책은 임대료 원상 복구와 다를 바 없다며 일부 면세점은 매월 100억원 이상을 매달 공항공사에 지불해야 하는 실정에 놓이기도 한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면세점들은 운영 중인 임대료를 내기도 벅찬 상태인데 내년부터 급증한 임대료를 내야 하면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국가가 면세산업을 중국인들에 의존하고 있다”며 “한국 뿐만 대부분의 국제공항 면세점에서 전체 매출의 80%가 중국인 관광객을 통한 매출”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직까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중국이 봉쇄 정책을 시행하면서 완전한 회복 단계는 아니다”며 “정상화 단계에 접어들려면 아직 추이를 더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송현주 기자 shj1004@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티백·동전·비건…세계로 뻗어나가는 ‘K-조미료’

2빙폭을 타는 사람, 한계를 넘어서다

3전국 삼겹살 가격, "제주도 제일 비싸네"

4자영업자 대출, 1112조 돌파...코로나 후 50% 늘었네

5‘감칠맛’ 찾는 소비자 덕…식품 시장 조용한 강자된 ‘이것’

6“디자인 왜 이래?” 현대차·기아 운명 바꿨다

7경기권 학생 비중 늘어나는데…의대 진학 역차별 벌어지나

81119회 로또 1등 번호 1·9·12·13·20·45…보너스 번호 3

9“손흥민 아니었어?”…토트넘 팬이 뽑은 올해의 선수는

실시간 뉴스

1티백·동전·비건…세계로 뻗어나가는 ‘K-조미료’

2빙폭을 타는 사람, 한계를 넘어서다

3전국 삼겹살 가격, "제주도 제일 비싸네"

4자영업자 대출, 1112조 돌파...코로나 후 50% 늘었네

5‘감칠맛’ 찾는 소비자 덕…식품 시장 조용한 강자된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