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작은 브랜드도 팔려”… 이탈리아도 놀란 한국의 유별난 ‘명품 사랑’

이탈리아 현지 매체 한국인의 명품 사랑 분석
한국, 글로벌 명품 시장서 ‘별’처럼 빛났다고 소개
한국인 지난해 1인당 명품 소비액 325달러, 세계 1위


서울 중구 롯데백화점 본점 명품관 앞에 고객들이 줄을 선 모습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한국인의 명품 사랑이 이탈리아 현지에서 조명되고 있다. 

이탈리아 전국지 ‘일 솔레 24 오레’는 29일(현지시간) ‘명품이 한국으로 향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공개된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명품 소비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지난해 한국이 글로벌 명품 시장에서 ‘별’처럼 빛났다고 소개했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지난해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0만4000원)로, 미국의 280달러(약 34만8000원)나 중국의 55달러(약 6만8000원) 등을 따돌리고 세계 1위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매체는 “한국의 명품 사랑이 새로운 현상은 아니”라며 “명품 브랜드들이 오래전부터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최근 1년간 투자를 확대했다”고 소개했다. 한국이 명품 소비와 관련해 가장 성장성이 높은 시장 중 하나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매체의 설명이다. 

이어 “지난해 이탈리아의 한국 수출액은 2021년과 비교해 4.4% 증가했다”며 “수출액 상위 5개 중 가죽제품(1위), 신발(2위), 의류(4위), 보석류(5위) 등 패션 관련 상품이 대부분이었다”고 전했다.

각종 유럽 명품 브랜드가 방탄소년단(BTS)의 지민(디오르)·슈가(발렌티노), 블랙핑크의 지수(디오르)·제니(샤넬)·로제(생로랑)·리사(셀린) 등 케이팝(K-pop) 스타들을 자사 브랜드 홍보대사로 임명하는 등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명품 시장에서 한국의 독보적인 위상을 입증한다. 

이와 관련해 페르디난도 구엘리 주한 이탈리아 무역관장은 “자동차까지 포함한 명품 브랜드 수출액은 이탈리아의 2022년 한국 전체 수출액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한다”며 “명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한국 소비자들은 패션에 대한 애정이 강하다”며 “패션을 선도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개성 있고 품질이 좋은 제품을 찾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탈리아의 작은 브랜드들도 찾는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2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3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4“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5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6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7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8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9“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실시간 뉴스

1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2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3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4“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5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