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셀트리온-리스큐어 공동 R&D 추진…“마이크로바이옴 파이프라인 확장”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할 것”

셀트리온 사무동 전경 [사진 셀트리온]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셀트리온은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기업인 리스큐어 바이오사이언시스(리스큐어)와 파킨슨병 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두 기업은 먹는 형태의 파킨슨병 치료제를 함께 개발하게 된다. 새롭게 개발할 치료제는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생균 치료제(LBP·Live Biotherapeutic Products)다.

셀트리온은 개발 단계에 따라 리스큐어에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리스큐어가 초기 개발을 마치면 셀트리온이 임상과 허가를 맡게 된다.

리스큐어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해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인 ‘LB-P4’를 개발하고 있다. 파킨슨병은 뇌에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단백질이 쌓이면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셀트리온은 리스큐어와 함께 퇴행성 뇌질환으로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게 됐다. 회사는 지난해 3월 고바이오랩과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과민성대장증후군 및 아토피피부염 치료제를 개발하는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셀트리온제약을 통해서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도네페질의 패치 제품인 도네리온패취를 국내 공급하고 있다. 이 제품은 세계 최초의 패치 형태 도네페질이다. 약을 먹거나 주사를 투여하는 대신 몸에 부착하는 것으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셀트리온은 2021년 이 제품의 국내 품목허가를 받았다.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 데이터가 2021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파킨슨병 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12.6% 성장해 2029년에는 115억 달러(약 14조95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시장은 2019년 기준 전체 파킨슨병 시장의 절반 이상인 18억 달러(약 2조3400억원)의 시장을 이루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파킨슨병은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영역”이라며 “기술력이 있는 바이오 기업들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속해,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2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3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4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5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6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7"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

8스마트 로봇 혁신지구로 거듭나는 '대구 침산공단'... 로봇부품 생산거점으로 속속 전환

9역대급으로 찾아온 대구 치맥 페스티벌, '대구로'와 손잡고 각종 연계서비스 출시

실시간 뉴스

1엔비디아 4거래일 만 반등에...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동반 상승

2미래에셋, ‘TIGER 미국나스닥100+15%프리미엄초단기 ETF’ 상장일 개인 순매수 1위

3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4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5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