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녀 학원비 물가상승 못 피해…달마다 30만원 ‘훌쩍’

2019년 통계 재편 이후 최고 금액
학력저하 우려에 사교육 수요 늘어

한 어린이가 학원 전단지를 손에 들고 걸어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지난해 가계 소비지출 가운데 초·중·고교생 자녀의 학원비에 지출한 돈이 전년 대비 20% 가까이 늘면서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보면 2022년 전체가구의 교육부문 소비지출은 월평균 20만3735원이었다. 전년 18만1528원보다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20만4775원보다는 적은 금액이다.

다만 초·중·고교생 사교육 수요가 있는 가구만 놓고 보면 사정이 다르다. 부부와 미혼자녀로만 구성된 가구의 ‘학생학원교육’ 지출은 월평균 36만3641원으로 2021년 30만7426원보다 18.3% 급증했다. 

학생학원교육 지출은 학생이 정규교육과정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선행학습을 하는 데 쓴 돈을 뜻한다. 

지난해 학생학원지출은 통계작성 대상이 ‘1인 이상 비(非)농림어가’에서 ‘농림어가 포함’으로 바뀐 2019년 이후 최고 금액이다. 분기별로 살펴봐도 학생학원지출은 지난해 1∼4분기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에는 방역기준이 엄격하고 감염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 학원을 찾는 학생들이 줄었다. 하지만 이듬해부터 학교 대면 수업이 일부 재개되고 학원 수업도 정상화되면서 학원비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육계에서는 최근 물가상승으로 학원비가 오른 것 외에도 사교육 수요 자체가 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코로나 세대’의 학력 저하와 상·하위권 학력 격차 심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불안감을 느낀 학생·학부모의 사교육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2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3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4“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5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6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7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8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9“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실시간 뉴스

1지식 노동도 기계로 대체되는 시대?...AI에이전트와의 불편한 동행

2제1166회 로또 1등 '14, 23, 25, 27, 29, 42'… 보너스 '16'

3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4“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5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