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자녀 학원비 물가상승 못 피해…달마다 30만원 ‘훌쩍’

2019년 통계 재편 이후 최고 금액
학력저하 우려에 사교육 수요 늘어

한 어린이가 학원 전단지를 손에 들고 걸어가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지난해 가계 소비지출 가운데 초·중·고교생 자녀의 학원비에 지출한 돈이 전년 대비 20% 가까이 늘면서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보면 2022년 전체가구의 교육부문 소비지출은 월평균 20만3735원이었다. 전년 18만1528원보다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20만4775원보다는 적은 금액이다.

다만 초·중·고교생 사교육 수요가 있는 가구만 놓고 보면 사정이 다르다. 부부와 미혼자녀로만 구성된 가구의 ‘학생학원교육’ 지출은 월평균 36만3641원으로 2021년 30만7426원보다 18.3% 급증했다. 

학생학원교육 지출은 학생이 정규교육과정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선행학습을 하는 데 쓴 돈을 뜻한다. 

지난해 학생학원지출은 통계작성 대상이 ‘1인 이상 비(非)농림어가’에서 ‘농림어가 포함’으로 바뀐 2019년 이후 최고 금액이다. 분기별로 살펴봐도 학생학원지출은 지난해 1∼4분기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에는 방역기준이 엄격하고 감염에 대한 국민 우려가 커 학원을 찾는 학생들이 줄었다. 하지만 이듬해부터 학교 대면 수업이 일부 재개되고 학원 수업도 정상화되면서 학원비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육계에서는 최근 물가상승으로 학원비가 오른 것 외에도 사교육 수요 자체가 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코로나 세대’의 학력 저하와 상·하위권 학력 격차 심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불안감을 느낀 학생·학부모의 사교육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

6신한투자증권, 1200억원 규모 해외 인수금융 주관·셀다운 성료

7신한은행, 강북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8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프로그램’ 글로벌 프로모션 위해 홍콩․싱가포르 출국

9KT, 40만원대 스마트폰 ‘갤럭시 A35 5G’ 공식 출시

실시간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