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올렸는데…한은, 기준금리 ‘3.5%’ 동결할까
11일 한은 기준금리 발표 예정
소비자물가 둔화 뚜렷해 연 3.50% 동결 예상
이창용 총재 “적정 수준 한미 금리차 없다”
![](/data/ecn/image/2023/04/06/ecn20230406000063.600x.0.jpg)
3월 소비자물가 전년 동월 比 4.2%로 ‘뚝’
6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이달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를 오는 11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발표한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4월 금통위 회의에서 금리를 다시 동결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상당폭 낮아졌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지난 4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56(2020=100)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2%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해 3월의 4.1% 이후 가장 낮았다. 한은의 물가 목표치인 2%보다는 여전히 높지만 지난해 물가가 6%대까지 높아진 것과 비교하면 낮아졌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월 23일 한은의 금리 동결 이후로도 1320원 안팎을 등락하며 안정적인 모습이다. 우리나라의 3월 기준 외환보유액은 전달보다 7억8000만 달러 증가한 4260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외화자금 감소도 보이지 않았다.
![](/data/ecn/image/2023/04/06/ecn20230406000064.600x.0.jpg)
이미 한은 금통위원들은 올해 2월 금리를 동결하면서 추후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한은이 공개한 2월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 위원들이 “기준금리 동결을 통해 지난해의 금리 인상 효과와 추후 국내외 경제 여건의 전개 상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만큼 3월에 물가 하락이 뚜렷하고 글로벌 금융시장 환경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한은이 4월에 기준금리 인상을 강행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힘을 받고 있다.
한미 금리차 최대 확대 불가피
동결 조치에도 금통위원들은 ▲한미 금리차 확대 ▲환율 변동 ▲물가 상승 등을 집중해서 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금통위 정례회의에서도 이 점에 불안정 요소가 나타나면 추가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소비자물가가 낮아지기는 했지만 근원물가 상승률로 인해 물가가 안정됐다고만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3월에 전년 동기 대비 4.8% 상승하며 소비자물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3월 물가는 석유류 가격이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4.2%나 내린 영향을 받았다. 결국 소비자물가가 국제유가 추이에 따라 언제든 높아질 가능성이 충분하다. 한은도 지난해 대규모 감산에 합의했던 산유국 협의체 오펙 플러스(OPEC+)가 지난 2일(현지시간) 추가 감산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 물가 흐름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data/ecn/image/2023/04/06/ecn20230406000067.600x.0.jpg)
최근엔 은행 위기감이 줄면서 연준 인사들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발언도 다시 나타나고 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지난 4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린 경제 전문가들 모임에서 “올해 금리가 경제적으로 더 제약적인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통화정책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예상대로 4월에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5월에 연준이 금리를 또 인상하면 한미 금리차는 1.75%포인트로 벌어진다.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금리 선물시장에 따르면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43%로 높게 나타났다.
다만 한미 금리차가 벌어졌어도 금융시장이 3월처럼 안정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어 한은이 한미 금리차보다 국내 물가와 경제 리스크 등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총재도 2월 금통위 후 기자간담회에서 “변동환율제도에서 적정 수준의 한미 금리 차는 없다”며 “기계적으로 얼마나 차이나면 위험하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이 있다면 조윤제 위원 1명일 가능성이 있고, 현 상황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만장일치 동결도 가능해 보인다”며 “기준금리 인상이 끝났다는 평가가 강화되면서 채권시장이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6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7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8“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9“코스트코 어쩌나”...韓 창고형 할인점 대박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