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5대 은행 예대금리차, 우리은행 1.22%p ‘최대’

4월 집계, 하나·농협·국민·신한은행 순
은행권 전체, 전북은행·토스뱅크 4%p대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은행 현금자동인출기(ATM).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 중 서민금융을 제외한 가계대출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던 곳은 우리은행으로 조사됐다. 은행권 전체에서는 전북은행의 가계대출 예대금리차가 가장 컸다.

22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햇살론뱅크·햇살론15·안전망 대출 등 정책서민금융을 뺀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우리은행이 1.22%p로 가장 컸다. 

이어 ▲하나은행 1.20%p ▲NH농협은행 1.18%p ▲KB국민은행 1.13%p ▲신한은행1.02%p 순으로 가계 예대금리차가 컸다.

인터넷은행, 지방은행, 외국계 은행을 포함해 이날 공시에 참여한 19개 은행 가운데 정책서민금융 제외한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으로 4.94%p를 기록했다. 이어 토스뱅크가 4.28%p를 나타냈다.

기업 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5대 은행 가운데 우리은행이 1.60%p로 가장 컸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1.59%p를 기록했으며, NH농협은행 1.53%p, 신한은행 1.38%p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7월부터 19개 은행의 월별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작됐다. 지나친 ‘이자 장사’를 막자는 취지다. 예대금리차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은 산술적으로 대출·예금 금리 격차에 따른 마진(이익)이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7월 첫 공시 후 은행권이 저소득·저신용 서민 대상 정책금융상품의 금리가 높아 이를 많이 취급할수록 예대금리차가 커지는 왜곡 현상을 지적하자, 한달 뒤인 8월부터 일부 정책금융상품을 제외한 예대금리차가 따로 공개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

6M캐피탈 구원투수 나선 메리츠증권…평가 엇갈린 배경은

7우리금융, 1년 3개월간 금융사고 9건 발생

8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9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실시간 뉴스

1갤럭시, 접고 끼고 AI 장착…‘언팩 초대장’ 보낸 삼성전자, 링·폴드·플립 공개

2이복현 “상속세·금투세 등 의견 피력…하반기 ‘골든타임’”

3토스뱅크·광주은행, 올해 3분기 ‘공동대출’ 출시

4연세의대 교수비대위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5‘롯데 3세’ 신유열 시대 열린다...日 지주사 사내이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