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추경호 “7월까지 2%대 물가 진입…임대인 대출 철저히 점검”

“이번 달이나 다음 달, 2%대 물가 진입할 것”
“공공요금, 여러 기간 걸쳐 오르게 해야”
“경기 바닥 확인 중, 중국과의 경협 지속해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영상문화콘텐츠 관련 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다음 달 중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한국은행의 목표치인 2%대로 내려간다고 전망했다. 역전세난을 해소하기 위한 대출 규제 완화와 관련해서는 전세금 반환 등 용도에 맞게 쓰이는지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물가가 전반적인 수준에서 서서히 안정을 찾고 있다”며 “이번 달이나 다음 달에는 2%대 물가에 진입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국내 소비자물가 지수는 111.13(2020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이는 2021년 10월의 3.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5.2%를 기록했고, 이후 둔화하면서 3%대 초반까지 내려왔다. 

다만 라면값 등의 상승과 관련해 추 부총리는 “지난해 9~10월에 (기업들이) 많이 인상했는데 현재 국제 밀 가격이 그때보다 50% 안팎 내렸다”면서 “기업들이 밀 가격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 요금에 대해선 “공공요금은 여러 기간에 걸쳐 시기를 분산해서 오르게 함으로써 한꺼번에 오르는 것을 조절한다”고 말했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역전세에 대해 추 부총리는 “약 50%, 100조원 상당이 역전세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본다”며 “집주인이 전세 차액을 반환하는 부분에 한해 대출 규제를 완화해 집주인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가 집주인 등 일부 대출자에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완화한 점에 대해선 “전세금을 반환하거나 차액 보전하는 데 쓰는지, 제대로 용도에 맞게 쓰는지 직접 확인하면서 철저히 점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최근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의 이른바 ‘베팅 발언’ 등을 두고는 “굉장히 부적절하고 유감스럽다”고 말했지만, “중국은 한국의 제1 경제·교역 파트너”라면서 “중국과 협력은 앞으로도 지속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추 부총리는 하반기 경기 전망에 대해선 낙관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경기가 바닥을 확인하고 회복 조짐이 보인다고 얘기했고, 저희도 하방 위험이 조금씩 줄어드는 것 같다(고 판단한다)”며 “수출은 3분기 이후로 서서히 좋아지고 경상수지는 5월 이후 흑자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국세청도 참전…‘年 10조원’ 세무환급시장, 어디까지 커지나

2韓기업 떨고 있니?...한반도 침투하는 차이나머니

3'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4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5"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6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7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8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9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실시간 뉴스

1국세청도 참전…‘年 10조원’ 세무환급시장, 어디까지 커지나

2韓기업 떨고 있니?...한반도 침투하는 차이나머니

3'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4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5"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