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지지부진했던 롯데카드 매각, 연내 순항할까

로카모빌리티 분리 매각으로 인수 부담 축소
지난해부터 매각 추진, 하나금융 관심 보여
금융권 시너지 기대…매각 성공 관건은 가격

MBK파트너스가 지난해부터 매물로 내놓은 롯데카드가 올해는 매각에 성공할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송재민 기자] MBK파트너스가 지난해 매물로 내놓은 롯데카드가 올해는 매각에 성공할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최근 롯데카드가 자회사 분리 매각 등 몸집을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는 만큼 재매각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1일 금융투자(IB)업계에 따르면 최근 롯데카드의 대주주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자회사인 로카모빌리티의 지분 100%를 4150억원에 맥쿼리자산운용에 매각했다. 지난해 9월부터 매각을 시도해 왔지만 새로운 주인을 찾지 못한 롯데카드의 매각가를 낮추고 본격적으로 재매각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당초 로카모빌리티를 포함한 롯데카드의 통매각 가격은 3조원 수준으로 책정됐다. 그러나 높은 매각가격 탓에 흥행에 실패했다. 하나금융이 롯데카드 인수전에 뛰어들어 예비입찰에 참여했지만 가격에 대한 눈높이 차이로 협상이 좌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은 가격이 문제가 되면서 매각 작업에 차질이 생기자 조정을 통해 인수후보들의 부담을 낮춘 모양새다. 

특히 롯데카드가 로카모빌리티로 자회사 분할 매각을 시작한 데 이어 롯데파이낸스베트남을 다음 분할 매각 대상으로 정하고 있단 관측도 나온다. 롯데카드의 베트남 현지 법인인 롯데파이낸스베트남은 지난해 연간 101억원의 순손실을 내고 있어 분리 수순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다. 

시장에선 유력한 인수 후보로 하나금융과 KB금융이 꼽힌다. 최근 비은행 부문으로 외연 확장에 주력하고 있는 금융권이 롯데카드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거란 해석이다. 하나금융은 연초부터 비은행 부문 인수합병(M&A)을 강조하며 사업 확대에 대한 의지를 보여왔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 “보험, 카드, 자산운용 등 비은행 부문의 M&A를 포함한 모빌리티, 헬스케어, 가상자산 등 비금융 부문에 대한 적극적인 제휴와 투자를 통해 새로운 영역으로 업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비은행 부문 강화를 선언했다. 

KB금융은 롯데카드를 인수해 KB국민카드와의 시너지를 통해 카드업계에서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 현재 KB국민카드는 신한카드와 1위를 두고 다투고 있다. 이에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이 “1등 카드사로 도약하는 전환점을 만들자”고 한 신년사가 롯데카드 인수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민카드가 롯데카드를 인수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면 신한카드를 제치고 1위에 오르게 된다. 

연내 매각이 구체화될 것이란 추측은 MBK파트너스의 재매각(엑시트) 시기와도 연결돼 있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입장에선 투자펀드 만기가 다가오고 있고 후속으로 신생 펀드를 결성하는 등 일정을 고려해 포트폴리오 기업 매각에 속도를 내야 한다. MBK파트너스의 경우 8조원 이상의 규모로 추정되는 6호 펀드 조성을 앞두고 있다. 아직 남아있는 드라이파우더(Dry Powder)도 소진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롯데카드 매각이 발목을 잡고 있단 분석이다. 드라이파우더는 벤처캐피털(VC)이나 사모펀드가 만든 펀드 중 아직 투자가 이뤄지지 않아 당장이라도 투자에 사용할 수 있는 가용 자금을 뜻한다.

MBK파트너스 관계자는 “롯데카드가 굳이 전부터 가지고 있던 베트남 현지 자회사를 떼어낼 필요가 없다”며 “베트남에서 라이선스를 보유한 건 현재 동남아 시장에서 큰 메리트가 된다”고 일축했다.  

관건이 되는 것은 가격이다. 2019년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를 인수할 당시 인수대금으로 1조380억원을 납부했다. 롯데카드를 인수할 당시 롯데카드의 기업가치는 1조8000억원 수준으로 평가됐다. 이는 당시 자본총계 대비 0.7~0.8배 수준으로 지난해 말 기준 자본총계 2조8901억원에 적용해 계산하면 2조원 초반대가 적정하다는 분석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MBK파트너스가 제시한 롯데카드의 몸값은 여전히 높다고 보는 의견이 많다”며 “인수 당시 금액인 1조원 대까지 내려오지 않으면 매각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2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3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4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5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6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7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8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9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실시간 뉴스

1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2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3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4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5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