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빚 갚느라 허리 휜다’…생계유지 곤란 가계대출자 300만명 육박

175만명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개인대출 창구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빚을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도 이어나가기 힘든 가계대출자가 3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75만명은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소비 여력이 사실상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차주(대출자) 수는 1977만명, 전체 대출 잔액은 1845조3000억원에 이른다. 한은은 자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약 100만 대출자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차주 수와 대출 잔액은 각 4만명, 15조5000억원 줄었다. 다만 감소율은 0.2%, 0.8%로 미미했다. 1인당 평균 대출 잔액도 3개월 사이 9392만원에서 9334만 원으로 0.6%(58만 원) 감소했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40.3%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 평균 DSR은 40.6%로,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에 40%대로 올라섰다가 현재까지 내려오지 않고 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이는 1분기 말 현재 우리나라 가계대출자들은 평균 연 소득의 40% 정도를 금융기관에서 진 빚을 갚는 데 써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DSR이 100% 이상인 차주도 전체의 8.9%를 차지했다. 175만명(1977만명 중 8.9%)에 이르는 가계대출자의 연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과 같거나 소득보다 많다는 의미다. 이 비중은 2020년 3분기(7.6%) 이후 2년 6개월 동안 오름세를 보였다. 여기에 DSR이 70% 이상, 100% 미만인 대출자(6.3%·124만명)까지 더하면 DSR 70% 이상 대출자 수는 299만명(15.2%)까지 불어난다.

사실상 300만명에 육박하는 대출자가 원리금 부담으로 생계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금융기관에서는 DSR이 70%가량이면 최저생계비만을 빼고 거의 모든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쏟아부어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이처럼 생계가 곤란한 가계대출자가 늘어난 건 코로나19로 인해 부동산·주식 등 자산투자와 생활고 등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지난 2021년 하반기부터 올해 초까지 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진 것 역시 생계 곤란 가계대출자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6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7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8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9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실시간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