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이초 사망 교사, 학부모 10명에 민원 받아…“송구하다” 반복만

서울교사노조, 서이초 사망교사 하이톡 내용 공개
치료 필요한 부적응 학생 생활지도 시달려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서울 서이초 교사가 업무용 메신저(하이톡)로 다수의 학부모에게 민원 문자를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 서울교사노조]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서울 서이초 교사가 업무용 메신저(하이톡)로 다수의 학부모에게 민원 문자를 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교사노동조합은 16일 유족 측이 공개한 고인의 하이톡 내용(3월 6일∼7월 14일)을 바탕으로 이같이 주장했다. 전체 반 학생 26명의 학부모 중 10여명은 ‘우리 아이가 놀림 혹은 폭행을 당했으니 확인해달라’는 취지로 고인에게 하이톡으로 피해를 호소했다는 것이다.

한 학부모는 “신고까지는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개선의지가 크게 보이지 않아서 고민 중이다. 서로 어울려 노는 것도 아닌데 지속적으로 와서 그렇게 만지고 듣기 싫은 말을 하는 건 엄밀히 학교 폭력에 해당되는 사안이긴 한 거 같습니다. 상대방 어머니께서 이 일에 대해 알고 훈육하고 계시는지 궁금하다”고 적었다.

고인은 학부모들의 민원에 대해서 “제가 전화 드리겠다”, “제가 미처 살피지 못했다”, “송구스럽다” 등의 말을 반복했다고 노조는 설명했다.

하이톡에는 ‘연필사건’과 관련한 대화도 남아있었는데, 가해자 측 학부모가 고인과 수업 중 하이톡과 학교 전화를 수차례 주고받은 정황도 드러났다.

노조에 따르면 연필 사건이 발생한 지난달 12일 피해자 학부모는 사진과 함께 고인에게 하이톡으로 '통화를 원한다'는 문자를 남겼다. 이에 고인은 해당 학부모와 2차례 통화했다.

가해자 학부모는 사건 당일(7월 12일) 오후 9시쯤 고인의 개인 휴대전화로 장문의 문자를 보냈다.

다음 날(7월 13일)에는 피해자, 가해자 부모와 고인은 수업 중 수차례 하이톡과 학교 전화를 주고 받기도 했다.

당시 피해 학생이 학교에 나오지 않았고, 가해 학생 학부모가 고인에게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하이톡을 통해 말했기 때문에 고인이 사안을 조사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고 노조는 주장했다.

그날 오후 고인은 어머니에게 ‘너무 힘들다’는 카톡을 보내기도 했다.

노조에 따르면 고인은 학기 초기인 지난 3월 2일 학부모들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아이가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느껴지면 학교 전화 또는 하이톡을 이용하여 연락을 달라. 하이톡은 아이들 수업 중에는 답변이 어렵다’고 안내했지만 이런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노조는 “고인은 수업 시간 중에도 하이톡으로 수차례 연락을 주고받았고 휴대전화로도 연락을 받았다. (연필 사건 관련) 이틀 동안의 중재 과정에서도 크게 힘들어했다”고 말했다.

또한 “고인은 교실에서 여러 학생의 갈등 상황에 직면하고 있었고, 문제 행동을 하는 학생 학부모의 빈번한 민원으로 큰 고충을 겪은 것 같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

6쿠키런: 모험의 탑, 글로벌 정식 출시…사전예약자 250만명 돌파

7NH투자증권, 증권사 최초 ‘소비자가 가장 추천하는 브랜드’ 3년 연속 1위

8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9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실시간 뉴스

1우리금융에 무슨 일이…임종룡 회장 취임 후 금융사고 9건 발생

2경제 3단체 “주주가치 제고와 균형있는 제도 개선 방안 모색해야”

3한은 “자영업자 취약차주 비중 12.7%…채무재조정 필요”

4넥슨 ‘퍼스트 버서커: 카잔’, 글로벌 게임쇼 ‘게임스컴 2024’ 참가

5현대건설, '전 공정 무재해' 47개 협력사에 상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