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14일부터 총파업…4조2교대 전면 시행해야”
노조 측, 공공철도 확대 등 요구
국토부, 대체인력 활용해 불편 최소화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은 11일 “공공철도 확대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성실 교섭 촉구·합의 이행이 파업에 나서는 이유”라고 강조했다. 철도노조는 오는 14일 오전 9시부터 나흘간 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철도노조는 지난 7일 국토교통부가 낸 ‘국민 불편 초래 철도노조 파업 계획 철회 촉구’ 자료에 대해 “시민 불편을 초래한 건 국토부로, 진정 시민의 편리한 열차 이용을 생각한다면 지금이라도 바로 수서행 KTX를 운행해 열차 대란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조는 “국토부가 ‘노조는 정부의 철도정책을 이유로 파업을 계획했으며 노조가 철도정책에 대해 내놓는 주장은 일방적이므로 파업의 명분이 없다’고 주장했는데, 철도노동자는 국토부의 일방적 주장에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지금 SRT 경부선은 국토부가 수서∼부산 간 좌석을 하루 최대 4920석을 감축하면서 대란이 발생하고 있다”며 “뒤늦게 대구와 대전은 평균 1054석, 호남선도 월요일과 토요일 410석 좌석이 줄어든 사실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한 “여기에 국토부가 부산 좌석 할당을 늘리면서 울산·신경주·김천구미·대전지역 열차 이용이 어려워질 전망”이라며 “지난 1일 증편한 부산∼서울 KTX 종착역을 수서역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4조 2교대는 야간 이틀 연속근무의 어려움을 개선하려고 마련한 근무 체계로 노사 합의 사항이지만 4년 넘게 전면 시행이 미뤄지고 있다”며 “철도노동자의 파업은 현장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절실한 요구에 기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14일부터 18일 오전까지 제1차 총파업에 돌입하고, 국토부와 철도공사 입장을 지켜보며 제2차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파업 전날인 오는 13일부터 비상대책반을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정부 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대체 인력을 활용해 출퇴근 시간대 광역전철과 KTX 등의 운행률을 평소의 70% 수준으로 확보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