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대형 증권사 9곳 ‘장애인 미고용’…대신 부담금 수백억 납부

5년 간 부담금 평균 28억원 수준
한국투자증권⋅하나증권 47억원 납부

여의도 증권가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대형 증권사 9곳이 장애인 고용을 미루고 수백억원 부담금만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형 증권사 9곳(KB증권,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은 2018년부터 올해 6월 말까지 장애인 미고용으로 251억원 부담금을 납부했다.

증권사 1곳당 납부한 장애인 미고용 부담금은 평균 약 28억원이었다. 증권사별로는 한국투자증권이 47억8000만원으로 가장 많은 부담금을 냈다. 이어 하나증권(47억5000만원), 미래에셋증권(33억6000만원), NH투자증권(33억원), KB증권(31억원), 신한투자증권(24억1000만원), 키움증권(15억1000만원), 메리츠증권(13억8000만원), 삼성증권(5억3000만원) 등 순이었다.

올해 6월 기준 대형 증권사 9곳의 평균 장애인 고용률은 1.83% 수준이었다. 특히 하나증권과 메리츠증권은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0.66%, 0.82% 수준으로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들은 장애인 고용 비율이 낮은 이유를 두고 적합한 직무가 부족하고, 채용에 맞는 장애인 인력도 적은 탓이라고 답했다. 하나증권은 의무 고용 인원 56명 가운데 12명을, 메리츠증권은 49명 중 13명을 채용했다. 다만 메리츠증권은 올해 9월 장애인 근로자를 채용, 장애인 고용 비율이 2.95%로 올랐다.

윤창현 의원실 측은 “증권회사에는 자료 분석과 통계 처리 등 장애인도 훌륭하게 해낼 수 있는 많은 업무가 있다”면서 “전문 교육기관과 직업 정보를 공유하는 등 각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이재명, 대표직 사퇴…이르면 내일 대선출마 선언

2올해 배민라이더 월급 예상치 414만원...전년 대비 11% 올랐다

3원/달러 환율, 1,486원…美 관세 불확실성에 금융위기 수준 근접

4증권업 기업금융 개편안 발표…발행어음·IMA 통해 모험자본 공급 의무화

5NH투자증권, 쿼타랩과 ‘주식 연계 보상’ 솔루션 협력 체결

6 원/달러 환율, 장 초반 1,487.3원까지 급등

73월 취업자 19만 명 증가…청년층 고용은 '일자리 한파'

8아워홈 공장 노동자 결국 사망...구미현 대표 "참담한 심정"

9정수조리기 판매업체 하우스쿡, '美 대리점' 모집 나선다

실시간 뉴스

1 이재명, 대표직 사퇴…이르면 내일 대선출마 선언

2올해 배민라이더 월급 예상치 414만원...전년 대비 11% 올랐다

3원/달러 환율, 1,486원…美 관세 불확실성에 금융위기 수준 근접

4증권업 기업금융 개편안 발표…발행어음·IMA 통해 모험자본 공급 의무화

5NH투자증권, 쿼타랩과 ‘주식 연계 보상’ 솔루션 협력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