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대폭 올려야” 김동철 한전 사장, 전력생태계 붕괴 경고
취임 후 첫 기자 간담회
“한전 부채 200조원 넘고, 누적 적자는 47조원”
“전기요금 인상, 결단 필요한 시기”

김 사장은 4일 세종시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 간담회에서 “발전 원가는 대폭 상승했는데 전기요금에 반영되지 않다 보니 한전 부채는 200조원이 넘고, 누적 적자는 47조원이 넘은 상태”라며 “전기요금이 인상되지 않고서는 한전 재무 상황은 악화할 수밖에 없고, 언젠가 회사채를 비롯해 차입에도 한계에 부닥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히 “한전의 모든 일들이 중지되고 전력 생태계도 결국 붕괴될 수밖에 없다”며 “전기요금은 올리지 않는다고 해서 안 올려도 되는 게 아니고 그 문제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전기요금 인상 폭과 관련해선 “애초 정부 약속대로 이행한다면 올해 (kWh당) 45.3원을 인상했어야 하는데, (목표에) 못 미쳤다”며 “(정부가 당초 제시했던 수준의) 기준 연료비라도 인상하려면 (kWh당) 25.9원의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전기요금 인상이 물가에 영향을 줄 것이란 우려에 대해 “전기요금 인상을 미뤄서 될 문제가 아니다. 계속 사채나 부채로 충당하면 언젠가 차입도 막히게 되는 만큼 결단이 필요하다”며 “한국은행 총재도 (요금 인상이) 물가에 영향을 주는 게 아니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추가 자구책은 조만간 2~3주 이내에 발표할 계획이고, 보다 큰 규모의 인력 효율화 등의 계획이 담길 것”이라면서 “자구안을 아무리 짜내도 (자구책) 규모는 부채보다 적지만, 최대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한전의 누적 적자는 47조원에 달했고, 부채는 200조원을 넘었다. 차입금도 급증하면서 한달 이자비용만 약 3500억원씩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2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3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4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5"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6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7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8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9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