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2년 뒤면 레벨4 시대 온다”...오토노머스에이투지, 양산형 자율주행차 최초 공개
-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 21일 폐막
자율주행 탑재 12인승 무인 셔틀 MS 공개
배송 모빌리티 타깃 차량 플랫폼 SD도 전시

21일 자율주행 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9일부터 3일간 진행되는 ‘2023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이하 DIFA)에서 양산형 무인 모빌리티를 공개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이번 DIFA에서 공개한 모델은 자체 개발한 양산형 완전 무인 모빌리티 ‘Project MS’와 ‘Project SD’다.
MS는 ‘Middle Shuttle’의 약자로 버스를 타깃하는 무인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MS는 레벨4 완전 무인 모빌리티 차량으로 자율주행 솔루션을 탑재한 12인승 무인 셔틀이다. SD는 ‘Small delivery’의 약자로 무인 배송 모빌리티를 타깃하는 차량 플랫폼이다. SD는 300㎏ 이상 적재가 가능한 무인 배송 2개 차종으로 미들-라스트마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레벨4 무인 모빌리티 차량은 빠르면 2년 뒤부터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회사 관계자는 “2025년 이후에는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우선은 사유지나 대학 캠퍼스, 공공기관 내부, 산간의 교통 약자 지역부터 실증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018년부터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을 시작한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현재까지 30여 대의 자율주행 차량을 확보하고 있다. 30만km의 누적 주행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검증해 왔다. 이 차량에 탑재될 자율주행 시스템은 일반 공공도로에서 최고 속도 60㎞/h로 완전 무인 형태로 운행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다.

이런 모빌리티 플랫폼의 설계는 예상치 못한 고장 및 비상 상황에서 ISO23793에 기반한 MRM 전략 수행에 있어 안전성을 보장한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관계자는 “2025년 파일럿 차량 도입과 함께 2030년까지 연간 1000여 대를 OEM 방식으로 생산할 계획”이라며 “이후 시스템과 안정성과 품질의 일관성, 그리고 시장의 확장성을 고려해 자체 생산, 위탁생산 및 완성차기업과의 협력 생산 등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전략은 국내 자동차 및 부품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상민, 재혼 발표→홍석천 “나만 못가네”... 송가인·하하 등 축하 [종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재혼 발표→홍석천 “나만 못가네”... 송가인·하하 등 축하 [종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징역형 집행유예→무죄→파기환송…대법서 왜 뒤집혔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상장 지씨지놈, 비교기업 글로벌회사로 싹 바꾼 이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