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분기 반도체 적자 3조7500억원
“바닥 찍었다”…4분기 실적 개선 속도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반도체 사업에서 3조7500억원의 적자를 내는 등 고전하고 있지만, 바닥을 찍고 4분기부터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7조447억원으로, 영업이익 2조433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보다 12.21%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7.57% 줄었다.
시장의 예상만큼 반도체 사업 부진 탈출 속도가 빠르지 않았으나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사업의 성장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 부문별 3분기 실적은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 솔루션(DS)이 3조750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올해 3분기까지 무려 12조69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본 것이다. 다만 D램 평균 판매 단가(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 등으로 3분기 적자 규모는 2분기보다 6000억원 정도 개선됐다.
3분기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LPDDR5x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와 일부 판가 상승으로 2분기보다 적자 규모가 줄었다.
3분기 시스템LSI는 주요 응용처의 수요 회복 지연과 재고 조정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라인 가동률 저하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은 파운드리는 고성능컴퓨팅(HPC) 중심으로 역대 최대 분기 수주를 달성했다.
디바이스 경험(DX)의 3분기 실적은 매출 44조200억원, 영업이익 3조7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 경험(MX)은 3분기에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Z플립5·폴드5와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 등이 판매 호조를 보여 성장했다.
3분기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의 경우 글로벌 TV 수요 감소에도 네오 Q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초대형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에 주력해 수익성을 개선했다.
3분기 네트워크는 통신사업자의 투자 감소로 북미 등 주요 해외 시장 매출이 줄었다.
전장 사업 자회사인 하만은 고객사 수주 증가 등으로 3분기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4500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3분기 매출은 8조2200억원, 영업이익은 1조9400억원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패널의 이익이 2분기 대비 대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4분기에는 반도체 사업 실적 개선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메모리 반도체는 고객사 재고 수준이 대체로 정상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MX의 경우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과 S23 시리즈의 꾸준한 판매가 예상되며, VD는 네오 QLED, 98형 초대형 TV 등 고부가 제품군 비중 확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실적 부진에도 미래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시설투자액은 11조4000억원으로, 사업별로는 DS 10조2000억원, 디스플레이 7000억원 수준이다.
올해 3분기까지 시설투자액은 36조7000억원이 집행됐다. 이 가운데 DS는 33조4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6000억원 정도다.
올해 연간 시설투자는 DS 47조5000억원, 디스플레이 3조1000억원 등 약 53조7000억원으로 전망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삼성전자는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7조447억원으로, 영업이익 2조4336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3분기보다 12.21%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7.57% 줄었다.
시장의 예상만큼 반도체 사업 부진 탈출 속도가 빠르지 않았으나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사업의 성장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 부문별 3분기 실적은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 솔루션(DS)이 3조750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올해 3분기까지 무려 12조69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본 것이다. 다만 D램 평균 판매 단가(ASP) 상승과 출하량 증가 등으로 3분기 적자 규모는 2분기보다 6000억원 정도 개선됐다.
3분기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DDR5, LPDDR5x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확대와 일부 판가 상승으로 2분기보다 적자 규모가 줄었다.
3분기 시스템LSI는 주요 응용처의 수요 회복 지연과 재고 조정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라인 가동률 저하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은 파운드리는 고성능컴퓨팅(HPC) 중심으로 역대 최대 분기 수주를 달성했다.
디바이스 경험(DX)의 3분기 실적은 매출 44조200억원, 영업이익 3조7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 경험(MX)은 3분기에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Z플립5·폴드5와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 등이 판매 호조를 보여 성장했다.
3분기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의 경우 글로벌 TV 수요 감소에도 네오 Q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초대형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에 주력해 수익성을 개선했다.
3분기 네트워크는 통신사업자의 투자 감소로 북미 등 주요 해외 시장 매출이 줄었다.
전장 사업 자회사인 하만은 고객사 수주 증가 등으로 3분기 매출 3조8000억원, 영업이익 4500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3분기 매출은 8조2200억원, 영업이익은 1조9400억원으로 조사됐다. 중소형 패널의 이익이 2분기 대비 대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4분기에는 반도체 사업 실적 개선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메모리 반도체는 고객사 재고 수준이 대체로 정상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MX의 경우 폴더블 스마트폰 신제품과 S23 시리즈의 꾸준한 판매가 예상되며, VD는 네오 QLED, 98형 초대형 TV 등 고부가 제품군 비중 확대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실적 부진에도 미래를 위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시설투자액은 11조4000억원으로, 사업별로는 DS 10조2000억원, 디스플레이 7000억원 수준이다.
올해 3분기까지 시설투자액은 36조7000억원이 집행됐다. 이 가운데 DS는 33조4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6000억원 정도다.
올해 연간 시설투자는 DS 47조5000억원, 디스플레이 3조1000억원 등 약 53조7000억원으로 전망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1월 기록적 폭설에 車사고 60% 급증…보험료 인상 조짐
2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4년만에 승인…통합 LCC도 출범
3이재명 “‘국장’ 떠나는 현실...PER 개선하면 ‘코스피 4000’ 무난”
4롯데바이오로직스 설립 2년 만 수장 교체…신임 대표는 아직
5상법 개정 되지 않는다면 “국장 탈출·내수 침체 악순환 반복될 것”
6열매컴퍼니, 미술품 최초 투자계약증권 합산발행
7‘펫보험 1위’ 메리츠화재, 네이버·카카오페이 비교·추천 서비스 동시 입점
8네이버페이, ‘펫보험 비교·추천’ 오픈…5개 보험사와 제휴
9카카오페이, ‘펫보험 비교’에 업계 1위 메리츠화재 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