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창사 첫 파업 위기 넘긴 이유[이코노Y]
“파업 땐 피해 막심”…파업 전 타결 공감대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창사 첫 파업 위기에 내몰렸던 포스코가 노사의 잠정 합의안 마련으로 위기 상황을 모면했다. 포스코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을 두고 갈등을 겪으면서도 파업 전 협상 타결에 공감대를 이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포스코 파업으로 예상되는 산업계 피해 규모가 커, 노사가 대승적 차원에서 파업 전 잠정 합의안을 도출한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다만 포스코 노동조합 일부 조합원은 이번 잠정 합의안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어 찬반투표 결과를 장담하긴 어렵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1일 철강업계 등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는 지난달 31일 올해 임금‧단체협상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 24일 올해 임금‧단체협상 관련 상견례를 가진 이후 10월 5일까지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포스코 노조 측은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하는 등 파업권 확보에 나섰다. 이에 따라 창사 첫 파업 위기감이 고조됐는데 극적으로 잠정 합의에 성공한 것이다.
철강업계에선 “포스코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 포스코뿐 아니라 철강 제품을 쓰는 자동차, 조선 등의 연관 산업에도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포스코 노조가 실제 파업을 감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진단이 많다. 일관제철소 특성상 1년 내내 쉬지 않고 가동돼야 하는 구조라, 노조 파업은 조업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포스코 생산량의 50% 정도가 수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외 고객사와의 문제에도 직면할 수 있다. 포스코 노사가 파업 전 타결에 공을 들인 이유다.
포스코 노조 측에 따르면 김태기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포스코 노사 임금‧단체협상과 관련해 직접 중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 노사뿐 아니라 정부도 파업 전 타결에 힘을 보탠 셈이다. 김성호 포스코 노조 쟁의대책위원회 의장은 이날 잠정 합의안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을 받으러 이동하던 중 이례적으로 중노위원장이 개입해 회의가 재개됐다”라며 “이에 따라 그동안 꿈쩍 않던 사측이 재원을 증액하며 교섭의 진전이 있었다”라고 밝혔다.
찬반투표에 쏠린 눈
시선은 9일로 예정된 포스코 노조 조합원 찬반투표로 향한다.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잠정 합의안이 가결되면 포스코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상도 마무리되는 것인데, 만약 부결되면 포스코는 또다시 ‘격랑’ 속에 휘말리게 된다. 포스코 노사가 극적으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하긴 했지만, 포스코 노조 내부에선 잠정 합의안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아 보인다. 포스코의 창사 첫 파업이 현실이 되는 최악의 상황을 현재로선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는 얘기다.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한 듯 김성호 의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번 잠정 합의안이 파업 전 평화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는 최선의 안이라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파업이 시작되면 조합원의 직접적인 참여가 수반된다”라며 “그에 앞서 조합원이 감내해야 할 위험 부담 없이, 가져올 수 있는 최대치를 가지고 조합원들에게 조합의 방향을 묻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해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소신 있게, 압박과 회유를 무시하고 투표해 달라”라며 “쟁의대책위는 모든 시나리오를 준비하겠다”라고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일 철강업계 등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는 지난달 31일 올해 임금‧단체협상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 24일 올해 임금‧단체협상 관련 상견례를 가진 이후 10월 5일까지 총 24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포스코 노조 측은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하는 등 파업권 확보에 나섰다. 이에 따라 창사 첫 파업 위기감이 고조됐는데 극적으로 잠정 합의에 성공한 것이다.
철강업계에선 “포스코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 포스코뿐 아니라 철강 제품을 쓰는 자동차, 조선 등의 연관 산업에도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포스코 노조가 실제 파업을 감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진단이 많다. 일관제철소 특성상 1년 내내 쉬지 않고 가동돼야 하는 구조라, 노조 파업은 조업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포스코 생산량의 50% 정도가 수출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외 고객사와의 문제에도 직면할 수 있다. 포스코 노사가 파업 전 타결에 공을 들인 이유다.
포스코 노조 측에 따르면 김태기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이 포스코 노사 임금‧단체협상과 관련해 직접 중재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포스코 노사뿐 아니라 정부도 파업 전 타결에 힘을 보탠 셈이다. 김성호 포스코 노조 쟁의대책위원회 의장은 이날 잠정 합의안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을 받으러 이동하던 중 이례적으로 중노위원장이 개입해 회의가 재개됐다”라며 “이에 따라 그동안 꿈쩍 않던 사측이 재원을 증액하며 교섭의 진전이 있었다”라고 밝혔다.
찬반투표에 쏠린 눈
시선은 9일로 예정된 포스코 노조 조합원 찬반투표로 향한다.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잠정 합의안이 가결되면 포스코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상도 마무리되는 것인데, 만약 부결되면 포스코는 또다시 ‘격랑’ 속에 휘말리게 된다. 포스코 노사가 극적으로 잠정 합의안을 마련하긴 했지만, 포스코 노조 내부에선 잠정 합의안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적지 않아 보인다. 포스코의 창사 첫 파업이 현실이 되는 최악의 상황을 현재로선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는 얘기다.
이 같은 상황을 의식한 듯 김성호 의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번 잠정 합의안이 파업 전 평화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는 최선의 안이라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파업이 시작되면 조합원의 직접적인 참여가 수반된다”라며 “그에 앞서 조합원이 감내해야 할 위험 부담 없이, 가져올 수 있는 최대치를 가지고 조합원들에게 조합의 방향을 묻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해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소신 있게, 압박과 회유를 무시하고 투표해 달라”라며 “쟁의대책위는 모든 시나리오를 준비하겠다”라고도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