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북한이 코인 침체장 오자 벌인 일은…

국가안보전략硏 ‘北사이버 공격 현황과 대응’ 보고서
“금융권 사이버 공격에 다시 관심…‘카운터해킹’ 중요”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의 돈줄로 활용해 온 암호화폐(가상자산)의 가치가 떨어지자 사이버 공격을 다양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김보미 부연구위원이 내놓은 보고서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 현황과 대응’을 보면, 올해 3분기까지 북한이 빼돌린 암호화폐 규모는 3억4000만 달러(약 4460억8000만원)에 달한다.

전 세계 암호화폐 피해액의 29.6%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지만, 역대 최대 규모였던 작년과 비교하면 줄었다.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과 암호화폐 거래소 FTX 파산 등으로 암호화폐의 가격이 급격히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김 부연구위원은 밝혔다.

또 각국이 지난해 발생한 ‘액시 인피티니 사태’를 거울삼아 감시와 제재를 강화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액시 인피티니 사태는 북한 정찰총국과 연계된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가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액시 인피티니를 상대로 감행한 해킹을 말한다. 당시 라자루스가 훔친 암호화폐 규모는 6억2000만 달러(약 8134억4000만원)로 역대 최대규모였다.

이에 따라 북한은 암호화폐 해킹 이외의 다른 사이버 공격에도 관심을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부연구위원은 “북한이 다시 금융권 공격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면서 “지난해부터 랜섬웨어(피해자의 네트워크를 장악한 뒤 이를 해제하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는 행위)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러시아의 환전 서비스를 이용해 암호화폐 현금화 문제의 돌파구를 찾는 것으로 보인다며 “러시아의 암호화폐 거래소가 북한의 피난처가 되고 있다”고 김 부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아울러 김 부연구위원은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해킹을 통해 빼앗긴 자산을 회수할 수 있는 능력(카운터해킹)을 향상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해 8월 설립한 한미 실무그룹은 북한이 탈취한 암호화폐 100만 달러의 현금화 시도를 포착해 동결 및 압수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이밖에 다른 미비점들은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 주요국들 및 기관들과 국제협력을 통해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김 부연구위원은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6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7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8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9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실시간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