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작년 96만명 집 한 채 이상 샀다…다주택자 비중은 줄어

작년 주택 소유자 1531만명…공동 소유 비중 상승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1채 이상 집을 산 사람은 96만20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연서 기자] 지난해 약 96만명이 집을 한 채 이상 산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1채 이상 집을 산 사람은 96만200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집 1채를 산 사람은 91만 7000명(95.4%), 2채는 3만 2000명(3.3%), 3채 이상은 1만 2000명(1.3%)이었다. 무주택자였다가 주택 소유자가 된 개인은 68만 6000명으로 집계됐다.

반대로 같은 기간 소유 주택 수가 감소한 개인은 65만 2000명이었고 이 중 1건을 줄인 사람은 61만 8000명(94.7%)이었다. 이중 모든 주택을 처분해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7만 3000명이었다.

작년 11월 1일 기준 주택 소유자는 1530만 9000명으로 전년(1508만 9000명)보다 22만명(1.5%) 늘었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은 1643만 2000호로 전년(1624만 2000호)보다 19만호(1.2%) 증가했다.

주택소유자 기준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호로 전년(1.08호)보다 감소했다. 1인당 소유 주택 수 감소는 하락세인 다주택자 비중과 관련이 있다. 지난해 주택을 1건만 소유한 사람은 1303만 5000명(85.1%), 2건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27만 5000명(14.9%)이었다. 다주택자 비중은 2019년 15.9%를 기록한 뒤 매년 하락세다.

개인 소유 주택 중 단독 소유는 1424만 2000호(86.7%), 2인 공동소유는 202만 5000호(12.3%), 3인 이상 공동소유는 16만 4000호(1.0%)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동 소유 비중(13.3%)이 0.1%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증시, 관세전쟁 우려에도 보합권 혼조

2뉴욕유가, 러-이 원유 공급 위축 우려에 사흘째 상승세

3“불확실성 심각하다”...KDI, 올해 韓 성장률 1.6%로 낮춰

4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손실 1092억원…상장 후 첫 연간 적자

5韓, 180개국 중 ‘국가청렴도’ 30위 달성

6“‘줍줍’은 무주택자만”...올해 상반기 제도 개편 시동

7국민연금, 굿바이 ‘엔비디아’…새로운 효자 종목은 ‘바로 너’

8‘상속 꿀팁’ 궁금하다면…국민은행, 전문가 강연 주목

9'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어, 같이 죽을 생각이었다"

실시간 뉴스

1뉴욕증시, 관세전쟁 우려에도 보합권 혼조

2뉴욕유가, 러-이 원유 공급 위축 우려에 사흘째 상승세

3“불확실성 심각하다”...KDI, 올해 韓 성장률 1.6%로 낮춰

4엔씨소프트, 지난해 영업손실 1092억원…상장 후 첫 연간 적자

5韓, 180개국 중 ‘국가청렴도’ 30위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