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년 새 생활용품 가격 큰 폭 올라…평균 18%↑

소비자원 공개 80개 제품 중 41개 판매가 상승

14일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생활용품 27개 품목 80개 제품 중에서 절반이 넘는 41개 제품 판매가가 지난해 11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연서 기자] 전방위적 물가 상승 압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1년 사이 생활용품 가격 역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이달 기준으로 생활용품 27개 품목 80개 제품 중에서 절반이 넘는 41개 제품 판매가가 지난해 11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내린 제품은 31개, 가격 변동이 없는 제품은 8개였다. 가격이 오른 제품의 평균 상승률은 18%였다. 41개 제품 중 21개가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가사용품(12개 품목) 35개 제품 중 23개 가격이 올랐다. 살균소독제, 섬유유연제, 섬유탈취제, 주방·세탁세제, 키친타월, 위생백, 습기제거제 등 거의 모든 품목의 가격이 뛰어 평균 12.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대표적으로 유한락스 후레시(1.5L)가 21.4%, 홈스타 욕실용 세정제(900mL)가 20%, 지퍼락 지퍼백 냉장 중형(20매)이 18.9% 각각 올랐다.

로션, 바디워시, 비누, 생리대, 샴푸, 염색약 등이 포함된 위생용품(14개 품목)의 경우 43개 제품 중 가격이 오른 것은 18개였다. 가사용품에 비해 가격이 상승한 제품 수는 적었으나 평균 상승률은 25.2%로 더 높았다. 주요 제품 가격 상승률을 보면 화이트 시크릿홀 낱개 중형(36개입) 31.6%, JB 뉴 베드타임 로션(500mL) 22.8%, 미쟝센 퍼펙트세럼 샴푸(680mL) 22.1% 등이다.

식품 물가에 더해 가정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생활용품까지 1년 새 두 자릿수의 가격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소비자의 장바구니 부담이 더 커진 셈이다.

생활용품 외에 개인서비스 요금도 예외 없이 올랐다. 서울지역 기준으로 지난달 평균 목욕 요금은 1만원으로 지난해 10월(8538원)에 비해 17.1% 상승했다. 세탁 요금은 8231원에서 8923원으로 8.4% 뛰었고, 이용 요금은 1만1154원에서 1만2000원으로 7.6% 올랐다. 이밖에 미용 요금(2만385원→2만1231원)은 4.2%, 숙박(여관) 요금(4만8846원→5만769원)은 3.9%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

6"부산, 식품은 다른 데서 사나?"...새벽배송 장바구니 살펴보니

7테무, 개인정보 방침 변경…“지역 상품 파트너 도입 위해 반영”

8알트베스트, 비트코인 재무준비자산으로 채택…아프리카 최초

9조정호 메리츠 회장 주식재산 12조원 돌파…삼성 이재용 넘본다

실시간 뉴스

1'선미' 없는 선미 NFT?...가격 폭락에 발행사 "로드맵 이행"

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 탑’, 일본 현지 CBT 시작

3美 유통업체 세대 교체?...아마존, 월마트 분기 매출 제쳐

4주부부터 직장인까지…BC카드 서비스 개발 숨은 조력자

5고려아연 운명 3월초 갈린다...법원, 임시주총 가처분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