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산업 지원할 ‘컨트롤타워’ 출범, 기대 효과는?
범정부 '바이오헬스혁신위' 이달 출범
국무총리가 위원장…12개 부처 참여

보건복지부(복지부) 등 여러 정부 부처에 따르면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11월 중 첫 회의를 열 계획이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 참가하는 각 부처 관계자들은 현재 구체적인 회의 일정과 구성 위원 등을 조율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무조정실 등 12개 부처의 장관과 민간 전문가가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의 위원으로 참가한다.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맡는다.
앞서 정부는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국무총리 직속의 범정부 컨트롤타워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의약품과 의료기기, 보건의료기술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업을 지원·육성하는 정부의 정책과 사업이 부처별, 분야별, 단계별 칸막이에 가로막혀 일관성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다.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업들은 계속해서 산업 지원을 통합적으로 지원 육성할 조직을 요구해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원희목 전 회장은 지난해 바이오헬스 제품화와 전주기 육성·지원을 위해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해달라고 촉구했다. 노연홍 현 회장도 취임 이후 바이오헬스 분야 컨트롤타워의 조속한 설치를 강조해왔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어떻게 설치·운영할지 가닥이 잡힌 것은 한 달 전이다. 정부가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설치하는 내용이 담긴 대통령훈령을 제정하며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첫 회의를 연 뒤 본격적으로 활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첫 회의 때 어떤 의제를 논의할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정책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세부적으로는 범정부 합동으로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술 개발, 제품화, 보험 등재, 시장 진출 등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등을 검토·심의할 계획이다. 첫 회의에서는 시급한 안건부터 논의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부처별 정책의 칸막이가 사라지면 바이오헬스 산업이 미래 먹거리이자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초석을 다질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2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3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4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5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6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7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8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9'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