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韓 만 15세 학생 학업성취도 OECD ‘최상위권’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결과
韓 학생, 수학·읽기·과학 성취 순위 상승

시험을 치르는 학생.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수학·읽기·과학 성취도가 전 세계 81개국을 대상으로 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서 최상위권 수준으로 나타났다.

OECD는 5일 이 같은 내용의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결과를 발표했다. PISA는 중3∼고1인 만 15세 학생의 수학·읽기·과학 소양의 성취도와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2000년부터 3년 주기로 시행되는 조사다.

이번 조사는 당초 2021년 시행됐어야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1년 연기됐다. OECD 회원국 37개국을 포함해 총 81개국이 참여했는데, 한국에서는 186개교에서 6931명이 조사 대상이었다.

한국 학생들의 평균 점수는 수학 527점, 읽기 515점, 과학 528점을 기록했다. 평균 점수로 매긴 순위는 전체 조사 대상국 기준으로 수학은 3∼7위, 읽기 2∼12위, 과학 2∼9위로 모두 최상위권이다. PISA는 표본 오차를 고려해 순위를 범위로 매긴다.

직전 조사 때인 PISA 2018과 비교해볼 경우 수학과 읽기의 평균 점수는 각 1점, 과학은 9점 상승했다. 순위는 직전 조사(2018년) 조사 대상국(79개국) 중 수학 5∼9위, 읽기 6∼11위, 과학 6∼10위로, 최고 순위 기준으로 2∼4계단 상승했다.

OECD 회원국 37개국으로 비교 대상을 좁혀보면, 한국의 순위는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다. OECD의 평균 점수는 수학이 489점에서 472점으로, 읽기가 487점에서 476점으로 떨어졌다. 과학은 489점에서 4점 하락한 485점이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일본이 수학과 과학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읽기에서는 아일랜드가 1위, 일본이 2위였다.

영역별 성취 수준을 세부적으로 보면, 수학 영역의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이 PISA 2018 때 21.4%에서 이번 조사에 22.9%로 확대됐다. 반면 하위 성취 수준 비율 역시 15.0%에서 16.2%로 상승했다. 수학에서 상·하위 격차가 벌어졌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읽기는 같은 기간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이 13.1%에서 13.3%로 높아졌지만, 하위 성취 수준 비율은 15.1%에서 14.7%로 하락했다.

과학 역시 상위 성취 수준 비율은 11.8%에서 15.7%로 상승했고, 하위 성취 수준 비율은 14.2%에서 13.7%로 줄어들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미 증권거래위,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2IP 다변화에 도전 중인 하이브IM…향후 전망은?

3‘인화의 LG’ 흔든 맏딸·맏사위…잦은 송사·구설에 ‘도덕성 결함’ 논란

4‘100일 현장동행’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전기차 관련 사업, 투자 축소 없다”

5한국-프랑스 ‘경제계 미래대화’ 출범…우주·신소재·탄소중립 협력

6김상철 한컴 회장 차남, 90억 비자금 조성 의혹…검찰, 징역 9년 구형

7‘서울 선언’으로 기회 잡은 韓, 네이버 핵심 역할…하정우 ‘소버린 AI’ 강조

8달성군, 중소기업 대상 '맞춤형 R&D기획 지원사업’ 추진

9포항시, 한중일 3국이 모여 동반성장 모색하는 '동북아 CEO 경제협력 포럼' 개최

실시간 뉴스

1 미 증권거래위,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승인

2IP 다변화에 도전 중인 하이브IM…향후 전망은?

3‘인화의 LG’ 흔든 맏딸·맏사위…잦은 송사·구설에 ‘도덕성 결함’ 논란

4‘100일 현장동행’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전기차 관련 사업, 투자 축소 없다”

5한국-프랑스 ‘경제계 미래대화’ 출범…우주·신소재·탄소중립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