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외국인 취업자 92만명 ‘역대 최대’…절반이 월 200~300만원 벌어

‘이민자 체류 실태·고용조사’ 결과
30대 이하가 56%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이 18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코로나 엔데믹 영향으로 비전문 취업(E-9)과 유학생이 크게 늘면서 국내 취업 외국인이 역대 최대 규모인 92만3000명을 기록했다.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이면서 임금 근로자 가운데 절반 가량 월급이 200만원대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통계청과 법무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상주 외국인(15세 이상)은 올해 5월 기준 143만명으로 지난해 대비 9.9%(12만9000명) 늘었다. 이 중 취업자는 92만3000명으로 작년보다 9.5%(8만명) 증가했다.

외국인 수 증가는 물론, 취업자 수도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로 나타났으며, 증가 폭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임경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엔데믹 상태에서 비전문 취업과 유학생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고용률은 64.5%로 전년보다 0.3%포인트(p) 떨어졌다. 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유학생이 늘어난 게 주요인이다.

연령별로는 30대가 30만8000명으로 지난해보다 3만명이나 늘었고, 15세∼29세도 4만1000명 증가한 21만4000명을 기록했다. 30대 이하가 취업자는 전체 56.5%를 차지한다.

국적별로 취업자는 한국계 중국인이 35.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베트남 11.3%, 중국 4.9% 순으로 뒤를 이었으며, 기타 아시아 국가도 39.8%를 차지했다. 아시아 지역이 전체 90% 이상을 차지했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 44.6%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밖에 도소매·숙박·음식(18.4%), 사업·개인·공공서비스(15.5%)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임금 근로자는 87만3000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94.5% 수준이다.

임금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44만2000명으로 50.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300만원 이상이 31만3000명(35.8%)으로 뒤를 이었다. 100만∼200만원 미만과 100만원 미만은 각각 9.9%, 3.7%를 차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2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3넷마블 ‘모두의마블2’, 오는 27일 사전체험 시작

4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5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6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7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8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9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실시간 뉴스

1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한국 게릴라 테스트 3일간 진행

2쿠팡, 로켓프레시 협력사 품질 간담회...하절기 품질 역량 강화

3넷마블 ‘모두의마블2’, 오는 27일 사전체험 시작

4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5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